d라이브러리
"측면"(으)로 총 1,774건 검색되었습니다.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내다봤다. 5G보다 최소 50배 빨라야 할 6G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를 보면, 6G는 최소 6가지 측면에서 5G의 성능을 크게 뛰어넘어야 한다. 속도와 에너지 효율, 신뢰도(오류 발생률) 등 일반인에게도 익숙한 성능도 있지만 연결 밀도나 공기 지연율, 스펙트럼 효율 등 전문적인 용어로 정의되는 성능도 ... ...
- 영재교육 전문가도 깜짝 놀란 ‘궁극의 질문’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질문은 과학 12개, 수학 3개였습니다. 수학은 스스로 연구해보지 않고는 질문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데 이 때문인지 상대적으로 질문이 적었습니다. 심사위원들은 이렇게 간추린 질문을 다시 한 번 검토해 과학 2개, 수학 2개의 ‘궁극의 질문’을 선정했습니다. 후원 || 한국과학창의재단 ※2020년 ... ...
- [신 기후체제] 당신은 늙어 죽지 못할 수도 있다...지구 온도 1.5℃를 지켜라 파리협정과학동아 l2021년 01호
- 2021년에는 파리협정에 따라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이 본격적으로 이행된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중립을 적극적, 능동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EU, 미국, 중국, 일본 등과 녹색협력을 강화하고, 녹색기후기금(GCF),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등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 ...
- 어과동 16주년 팬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계신 홍승우 작가님이 함께 했지요.“가장 먼저 슬기의 얼굴형을 그릴 거예요. 전 측면 얼굴을 그려볼게요. 슬기는 왼쪽에 휘날리는 머리카락이 포인트죠? 빨리 야구를 하러 가고 싶은 마음에 머리를 대충 묶느라 머리가 삐죽 빠져 나온 거예요.” ‘허슬기를 그리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 ...
- 과학동아가 파헤친다, 2021 수능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환기를 할 땐 세 면 가림막보다 한 면 가림막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더 유리한 측면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올해 수능은 12월 3일에 치러집니다. 2017년 포항지진 등으로 수능이 일주일 정도 연기된 적은 있었지만 이번처럼 12월로 미뤄진 것은 처음이죠. 진짜 겨울에 수능을 치르니 ‘수능 ...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반응 때문에 원자로가 녹고 방사성 물질이 새어 나가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환경적인 측면에서도 핵융합은 그야말로 ‘꿈의 에너지’다. 다양한 종류의 친환경 에너지가 개발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친환경 에너지가 인류에게 충분한 양만큼 에너지를 뽑아내려면 기어이 환경을 훼손하고 만다 ...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보는 나선은하의 사진은 나선을 그리기 쉽게 ‘전처리’한 사진입니다. 사진처럼 측면에서 타원 모양으로 촬영된 은하의 사진에서 지름이 짧은 부분을 늘려서 원 모양에 가깝게 만들고 위에서 촬영한 것처럼 수정합니다. 지구에서 바라본 우주의 은하들은 이렇게 위치에 따라 촬영 각도가 ... ...
- Science Festival│ SF가 그린 디스토피아? 두려워 말고 준비하세요!과학동아 l2020년 11호
- SF 작품들은 우리나라 사회를 잘 반영하고 있어서 사람들이 과학기술에 대한 고민을 여러 측면에서 할 수 있습니다. 2016년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가 세상에 나왔을 때처럼 갑작스럽게 등장한 과학기술에 충격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미래 과학기술을 미리 알고 논의를 숙성시켜나가야 합니다 ... ...
- [특집] 클라우드 신뢰점 문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더 넓은 공격 표면(attack surface)을 제공해서 공격 여지를 준다. 결과적으로 보안 측면에서 더욱 취약해질 수 있다. 또 인공지능(AI) 기술이 발달해 더 많은 사람이 AI 기술을 이용하고, AI가 판단한 결과물에 의지하는 추세다. 그만큼 AI 기술은 정확한 결과물을 내려고 하고, 더 좋은 성능이 요구된다. ...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연구가 나왔다. 단 인간이 아닌 동물 대상의 연구인지라 실험 설계가 지나치게 단순화된 측면은 있다.연구자들은 윤리적으로 인간의 태아기 호르몬을 조절하는 실험은 할 수 없었다. 그래서 생물학적으로 중성인 사람과 같이 태아기 호르몬의 수치나 또는 태아기 호르몬에 대한 반응이 일반적이지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