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몇 해 전 ‘유전자 다이어트’라는 걸 해봤습니다. 세상에 그런 다이어트도 있느냐고 궁금해하실 분들을 위해 잠깐 설명하자면, 개인의 유전체를 분석해 ... 미래는 본디 불확실하지만 과학의 큰 흐름이 내년을 준비하고, 10년 뒤를 대비하는 여러분에게 영감을 드릴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9월 9일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 ‘텀블벅’에 재미있는 펀딩이 하나 올라왔습니다. 제목은 ‘상공 30km 목표 아마추어 고체 추진 관측 로켓 개발’. 아마추어 로켓 개발 ... 과연 OSR-1은 12월 창공을 날아 고도 30km에 닿을 수 있을까요? 이 기사를 읽는 여러분도 함께 응원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 ...
- [이그노벨상] 좋은 과학은 웃긴 과학 (일지도 모른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우리는 올 한 해, 수많은 이그노벨상 수상 연구들을 둘러봤다. 연구들을 보고 있자면, 도대체 이 많은 연구에 상을 주자는 발상을 떠올린 사람은 누구였을까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 말했다.❋이번 호를 마지막으로 ‘이그노벨상’ 연재를 마칩니다. 함께 웃어주신 주신 독자 여러분께 ... ...
- [SF] 속도의 맛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운전석 의자에 파묻혀 들어갈 것 같았다. 주변이 빠르게 지나가면서 정면 가운데 부분으로 삼삼칠의 시야가 좁아졌다. 마치 터널 속에서 바라볼 때 터널 출구만 동그랗고 밝게 보이는 것 같았다. 레이서들에겐 이미 익숙한 터널비전(Tunnel Vision) 현상이었다.“시속 1000km. 음속에 가까워집니다.” ... ...
- 위로와 희망이 공존하는 실패 나눔의 장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지만, 실패라는 말 앞에 두려움부터 앞서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최근 KAIST 학생들이 자신의 실패를 나서서 이야기하는 자리를 가졌습 ... 하지만 실패의 순간 좌절하지 않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태도가 성공을 만들었지요. 여러분도 실패하더라도 포기하지 마세요 ... ...
- [전지적 독자시점]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고 하지만, 우리는 아직 실패에 익숙하지 않잖아요”과학동아 l2023년 12호
- 2월호 보고싶은 기사 투표에서 많은 분들이 ‘KAIST 망한 과제 자랑대회’를 골라주셨습니다. 기자들도 마찬가지였어요. 다들 되새길만한 실패의 씁쓸한 추억 하나씩은 품고 있더라고요. 씁쓸한 실패의 추억이 긍정적인 미래를 향한 발판이 될 수 있을지, KAIST 실패주간 리뷰를 기다려봅니다. 그외에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부사장은 1989년부터 mRNA 연구를 시작했지만, 그녀의 연구엔 우여곡절이 많았다. 대부분의 연구 과제에서 떨어지고, 주요 저널에서 논문 게재를 거절당하기도 했다. 1995년에는 펜실베이니아대 정규 교수 임용에도 실패했다. 그럼에도 커리코 부사장은 대학에 남아서 계속 연구를 했다. 포기하지 않은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들어가는 선행 내지 심화 과목은 지양한다는 것입니다. 지식을 미리 쌓는 것보다 다양한 분야를 경험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보는 까닭입니다. 작년부터는 학생 1명이 스스로 16주 교육과정을 구성해오면 학교의 해당 학과 및 교육과정위원회에서 심사해 과목을 개설하는 절차도 도입했습니다. Q. ... ...
- 2023 SF스토리 공모전 시상식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인공지능(AI) 등 현재 과학계의 화두인 분야를 소재로 한 작품에 특별상을 수여한 부분도 눈길을 끈다. 양자・나노 부문 특별상 시상을 맡은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 단장은 “일반 대중과 함께 과학에 대해 이야기하는 데 열정을 갖고 있다”면서 “양자・나노 ... ...
- 인공지능이 지켜준다, 스마트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신호를 길게 연장해주는 시스템이죠. 어린이나 노약자, 자동차, 휠체어 등 이동 대상을 구분하도록 인공지능을 학습시킨 뒤, 노약자가 늦게 지나갈 경우 신호를 연장합니다. 그럼 신호등 옆에 숫자가 3, 2, 1 이후에도 1이 몇 번 더 반복해 깜박거리다가 신호가 빨간 불로 바뀐답니다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