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1분 1초도 늦지 마라! 사라진 보물을 찾아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내가 도와줄게! 같이 악땅을 찾으러 가자!”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1분 1초도 늦지 마라! 사라진 보물을 찾아서Part1. 어서 악땅 섬으로 가자!Part2. 악땅, 어디 숨었니 ... ...
- [퍼즐마법학교] 룸메이트, 절대 놓칠 수 없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뎅! 뎅! 뎅!’정각이 되어 종이 울리자, 까마귀들은 깜짝 놀라며 흩어졌어. 나는 까마귀 깃털투성이가 된 모자와 망토를 티아에게 찾아줬지. “티아, 다친 덴 없어?”“으응, 난 괜찮긴 한데….”티아는 알 수 없는 표정을 지으며 말끝을 흐렸어. 어쩌면 내가 티아를 더 불안하게 만든 건 아닐 ... ...
- 어서 악땅 섬으로 가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어디 보자, 4시 40분으로부터 3시간 27분 뒤라면”티키가 시계를 보며 고민하는 사이 시간이 흘렀어요. 그런데, 갑자기 악땅이 보낸 앵무새 ‘타카’가 나타났어 ... 걸리고, 거기서부터 악땅 섬까지 가는 데는 48분 30초가 걸려. 그럼 우리는 악땅 섬에 몇 시 몇 분 몇 초에 도착할 수 있지 ... ...
- [이달의 과학사] 1971년 9월 18일, 컵라면의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물과 3분의 여유, 1500원만 있다면 간단한 한 끼가 가능해요. 바로 컵라면 덕분이죠. 최초의 컵라면은 1971년 탄생했습니다. 일본의 닛신 식품은 폴리스티렌으로 만든 일회용기에 말린 채소와 튀긴 면을 담아 컵라면을 만들었습니다. 이를 만든 사람은 닛신 식품의 안도 모모후쿠 회장입니다. 그는 1958년 ... ...
- [숫자로 보는 뉴스] 꿀잠 자고 싶다면 많이 걸으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어른들이 평균★적으로 잠드는 시각은 오전 12시 1분이고, 일어나는 시각은 오전 7시 42분이라는 사실도 알아냈어요. 나라별로 일어나는 시각은 비슷했지만 잠드는 시각은 조금씩 달랐지요. 소득★이 높은 나라에 사는 사람일수록 잠드는 시각이 더 늦었고, 질서나 규칙이 덜 엄격하고 너그러운 ... ...
- 악땅, 어디 숨었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읽을 줄 알게 된 클락이 당당하게 외쳤지요.“지금은 8시 6분 30초야! 약속한 시각까지 1분이 남았으니까, 어서 보물을 돌려줘!”“아깝다! 이번엔 보물을 돌려주지만, 다음엔 꼭 내가 차지하고 말 거야!”보물을 되찾은 클락과 티키는 다시는 보물을 빼앗기지 않도록 상자를 배의 깊숙한 곳에 잘 ... ...
- 새만금 간척지, 농사도 짓고 도시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튼튼해야 해요.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장일한 교수는 “간척지를 이루는 흙은 수분을 많이 머금고, 입자 사이의 결합력이 약해 무거운 하중을 지탱할 수 없는 만큼, 시멘트, 석회 등의 물질을 더해 흙 입자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거나 흙에 있는 물을 빼내 지반을 단단하게 만들어야 ... ...
- 1초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시간을 세는 기본 단위예요. 지구 어디에서든 시간은 초를 기준으로 계산하지요. 60초는 1분, 3600초는 1시간, 8만 6400초는 하루예요. 예전에는 지구가 스스로 한 바퀴 회전하는 시간, 즉 하루가 지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먼저 재고, 그것을 8만 6400으로 나누어서 나오는 값을 1초라고 정했어요. 그러나 ... ...
- 국경부터 차단! 인천공항본부세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X선을 더 미세하게 쪼개 쏠 수 있도록 장치를 개조했지요. 실험에서 인공지능은 2만분의 1도()의 구부러짐까지 인지해 물품 속 유해 화학물질을 100%까지 탐지했어요. 이러한 기술이 적용되면, 우리 손에 안전한 물품이 들어오도록 살피는 첫 번째 관문인 세관에서 X선 영상 판독의 속도와 정확성이 ... ...
- [수학체험실] 쭉~쭉 늘어나! 우리만의 자유로운 길이 재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기준이 필요했지요. 1983년, 과학자들은 1m를 ‘빛이 진공★ 상태에서 2억 9979만 2458분의 1초 동안 지나는 거리’로 정했어요. 길이의 표준 단위로 1m를 정한 이후, 더 작은 단위와 더 큰 단위도 만들었지요. 1m의 이 1cm, 1m의 이 1mm예요. 1m의 1000배는 1km라고 해요. 용어 설명표준★ 사물의 정도를 알기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