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위"(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누리호 발사 카운트다운, 숨겨진 공로자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2단에 고체연료를 탑재했던 나로호에는 사용되지 않은 기술이다.엄빌리컬 타워의 연결 부위는 발사체와 마지막 순간까지 붙어있다가 이륙 직전에 신호를 받고 완벽히 분리돼야 한다. 또 연료 공급이 끝나면 제대로 회수돼야 재사용이 가능하다. 강 팀장은 “공압을 이용해 연료공급장치를 빠르게 ... ...
- [한페이지 뉴스] 코로나19, 알파, 델타, 감마…, 뮤 변이 바이러스 국내 발생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높이거나 백신 효과를 약화시키는 등 위험한 특징이 확인된 변이는 우려 변이, 결합 부위 변화나 항체에 영향을 미치는 등 위험 가능성이 있으나 추가 검토가 필요한 변이는 관심 변이다.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등 4종류는 우려 변이에 속하며, 에타, 이오타, 카파, 람다, 뮤 등 5종류는 관심 변이로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쓰레기에 낚인 괭이갈매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자극하지 않도록 부드러운 육류와 작은 물고기 위주로 제공했다. 매일매일 상처 부위를 소독하고 연고를 발랐다. 한 달여 간의 치료 끝에 괭이갈매기는 무사히 바다로 돌아갔다. 바람에 날린 낚싯줄이 내륙의 동물을 위협하다 낚시객들이 물가에 남기고 간 낚시 쓰레기는 바람을 타고 물가를 ... ...
- 이불킥 하신 분 어서오세요, 기억 지워드립니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통해 받아들여져 뇌로 전달된다. 뇌로 전달된 정보들은 감각기관이나 뇌의 특정 부위에 잠시 머무르다 사라진 다. 지하철이나 버스를 타면서 처음 보게 된 사람들의 얼굴을 금방 잊어버리는 것이 대표적이다. 만약 그 사람들 중 하나가 큰소리로 전화 통화를 한다면 눈길이 갈 것이다. 그러나 그 또한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세계 네 번째로 구축한 코로나19 영장류 감염 모델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어느 순간부터 미국 연구팀이 이를 따라잡았다. 홍 책임연구원은 “분석해 보니 접종 부위가 임상시험 결과를 좌지우지한다는 걸 알게 됐다”며 “이를 염두에 두고 코로나19를 위한 최적의 영장류 모델을 찾아갔다”고 말했다.연구팀은 불과 한 달만인 지난해 4월, 코로나19 영장류 모델을 ... ...
- [기획] 스포츠 클라이밍, 무게중심을 이동시켜라수학동아 l2021년 09호
- 각 부위에 분포된 질량의 평균 위치이며 질량중심이라고도 불립니다. 몸의 질량이 부위별로 균등하게 분포하지 않기 때문에 삼각형의 무게중심과는 다르게 구해야 합니다. 인체의 무게중심을 구하기 위해서는 분절법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몸을 크게 머리와 몸통, 넓적다리, 종아리, 위팔, ... ...
- [한페이지 뉴스] 상처가 생기면? 따개비 접착제!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달라붙었다. 쥐 실험을 통해 적절한 압력을 가하면 5초 내에도 단단하게 경화돼 상처 부위를 완전히 봉합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육 연구원은 “의료 환경에서 피가 나는 조직을 봉합할 때는 물기와 오염 등을 제거해야 한다”며 “해양 환경에서 서식하는 따개비가 출혈 치료를 하는 것과 ... ...
- [특집] 불가능을 현실로 만드는 메타버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크면 우리가 찾는 부위라고 판단합니다. 눈, 코, 입 등 이목구비에 해당하는 모든 부위를 찾아내면 그 영역을 얼굴이라 하고 각 이목구비에 사진으로 아바타를 만드는 알고리듬을 적용해 변형하면 제페토 아바타 같은 캐릭터가 탄생합니다. 로커스의 이승환 PD는 “뉴미디어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 ...
- [쇼킹 사이언스] 머리를 잘라내도 살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기생충 때문에 갯민숭달팽이가 몸을 자른다고 추측했어요.미토 연구원은 “목의 잘린 부위에 줄기세포가 분포해 몸을 자르는 것 같다”며 “달팽이의 머리에도 먹이를 소화시킬 수 있는 소화샘이 있어 몸이 분리된 후에도 살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JOB터뷰] 종이로 꿈을 펼치는 페이퍼 아티스트 이재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제일 어렵나요?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최대한 정확한 자료를 찾는 것이 중요해요. 새의 부위마다 깃털의 모양이나 색이 다르거든요. 같은 종류의 새라도 사는 지역에 따 라 생김새가 다를 수도 있어요. 유럽에 사는 박새는 배 가 노랗고, 시베리아의 박새는 배가 흰색이죠.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