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위"(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물속에서 숨 쉴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점막이 얇고 혈관이 모여 있어 기존에도 약물 등을 체내로 신속히 투여할 때 쓰인 부위였습니다. 실험 결과, 산소 부족 상태에서 항문으로 산소를 공급받은 동물이 그렇지 않은 동물보다 더 오래 살아남았어요. 산소도 약물처럼 직장에서 흡수되어 몸으로 퍼지는 것이죠.그런데 이 방법을 쓰려면 ... ...
- [4컷 만화] 미니 심장이 콩닥콩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심장처럼 스스로 치유되는지 확인했어요. 그 결과, 상처 치료를 담당하는 세포가 상처 부위로 이동해 상처를 치유하는 단백질을 생성했어요. 사샤 멘드잔 박사는 “앞으로 미니 심장에 혈관을 연결해 진짜 심장처럼 피를 뿜어낼 수 있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답니다. ●유도만능줄기세포 : ... ...
- [시사 과학] 직접 맞아 봄! 코로나 19 백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7일차6/5“왼쪽 팔뚝이 부었는데, 괜찮은 건가요?” 4일째, 왼쪽 팔 접종 부위 아래쪽이 빨갛게 부풀기 시작했습니다. 만지면 아픈 ‘압통’이 심해졌고 살짝 뜨거웠으며, 팔을 들면 더 아팠습니다.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건 아니었지만 운동을 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다음날 부기가 더 ... ...
- [DGIST 융복합 파트너] 초음파와 빛의 융합 공기 방울로 극대화한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위한 동물실험과 수술 등에 널리 쓰이는 도구다. 공초점 형광 현미경도 산란에 의해 깊은 부위에서는 해상도가 떨어지는 한계가 있어 실제 의료 현장에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왔다.장 교수는 “암 수술 직후에는 주변 조직에 암세포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공초점 형광 현미경을 이용한 ... ...
- [특집] 식중독 악당들의 정체를 공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독소는 100°C 이상의 열을 가해도 쉽게 없어지지 않는다. 상처가 난 부위에 황색 포도상구균이 많이 증식해 주먹밥 등 손으로 만드는 식품을 통해 주로 감염된다. 평균 3시간 안에 구역질, 설사, 복통 등을 일으킨다.원인식품 케이크, 주먹밥 등. 특징 설사와 복통을 일으키며, 최대 8일의 잠복기를 ... ...
- 따뜻하면서 멋스럽게, MZ 세대 겨울 패션 공식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이후 전도성 있는 실과 일반 실을 섞어 니트 형태의 발열체를 제작해 재킷의 손목 부위에 손등을 덮는 방식으로 디자인했다. 정원영 KITECH 융합기술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손등만 따뜻해져도 작업할 때 손가락이 시리지 않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손등을 덮는 부분을 니트 형태로 만들어 활동성과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세 번 만났을 때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감염의 위험도 높았다.구조한 당일 응급수술을 했지만, 일주일도 채 되지 않아 수술 부위가 괴사하기 시작했다. 다시 날 수 있으리란 희망이 꺼졌다. 날지 못하는 새는 방생할 수 없으니 안락사를 진행해야 하지만, 우리는 오른쪽 날개를 절단해 구조센터에서 함께 살기로 결정했다. ‘알비’라는 ... ...
- [논문탐독] 나노분자 바구니에 담아 무게를 측정하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안쪽에 들어가 안정된 복합체를 형성한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하지만 서로 결합하는 부위는 달랐습니다. 두 시알산은 양성자가 첨가되며 쿠커비투릴과 복합체를 이루는데, Neu5Gc의 경우 아세트아마이드 작용기의 질소 원자에 양성자가 첨가됐을 때 안정된 복합체를 이루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 ...
- [특집] 식중독균 전문은행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도마 등 입으로 들어올 수 있는 모든 것을 검사해요. 또 근처 마트에서 고기를 종류별, 부위별로 사서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식중독균이 있는지, 이것이 소비자에게 영향을 끼칠지 확인하기도 하죠”라고 답했어요.식중독균의 모든 유전정보를 분석하고 저장하는 실험실에 들어서자, 여러 종류의 ... ...
- [기획] 하수도3 싱크홀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알렉스 넷은 영상 속에서 표면 손상, 균열, 퇴적물이 쌓여 있는 부분 등 총 9가지 손상 부위를 찾아 분류했지요. 그 결과 정확도가 95.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서울디지털재단 정책연구팀 고설태 주임은 “현재 하수도 결함을 찾는 데 더 효과적인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찾는 추가 연구를 진행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