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상"(으)로 총 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06
- 입학해서 처음에는 물리학을 전공하려고 했어요. 그런데 막상 공부해보니 추상적으로 상상해볼 때와는 다르더라고요. 물리는 의문이 남는 데 해소가 안 되는 부분이 있었거든요. 그에 비해 수학은 결과가 명확하게 드러나 좋았어요. 문제가 어떤 과정으로 해소되는 지 깔끔하게 드러나는 게 제가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06
- 감도도 높아진다. 이형목 교수는 쏟아지는 신호로 천문학자들이 고민하는 행복한 상황을 상상했다. “중력파 관측신호가 너무 잦으면 전자기파 관측학자들이 피곤해 할 수도 있죠. ‘중력파 나오는 것만 계속 보라는 거냐’는 불평이 나올 수도 있고요. 미래의 일이지만, 이제 중력파 연구자와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06
- 거기에서 파생되는 해로운 결과에 대한 무지나 무책임성에 대해 비판할 수 있는 도덕적 상상력 또한 필요하다. 무조건적인 제한이나 금지보다, 가능한 파괴적 결과를 예민하게 고민하면서 창조적인 방식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06
- 알코올로 망가진 그 남자의 두뇌가 추억충이 넘겨준 기억을 어떻게 해석했을지 충분히 상상할 수 있지 않은가?그리고 윤정 전에 추억충이 거쳐온 숙주들이 과연 두 명뿐이었을까? 세 사람일 수도, 네 사람일 수도, 다섯 사람일 수도 있었다. 아니, 꼭 사람들만 해당되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은성의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수학동아 l201606
- 24차원으로 확장하면 어떻게 될까요? 최근 우크라이나의 수학자가 이를 해결했습니다. 상상도 안 되는 8차원과 24차원에서는 케플러의 추측을 어떻게 풀어야 할까요?커다란 상자 안에 크기가 같은 공을 가장 많이 넣고 싶습니다. 어떻게 하면 될까요? 시장이나 마트에서 사과나 오렌지를 상자에 담을 ... ...
- [Career] 사람이 만드는 도시, 도시가 만드는 사람과학동아 l201606
- 권영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의 사무실에는 큰 도면과 함께 도시 모형이 있었다. 자세히 보니 세종특별자치시의 도면이었다. 그런데 도 ... 학생이라면 평소에 SF 영화나 게임 등을 유심히 관찰하는 게 도움이 됩니다. 미래의 도시를 상상하는 데 도가 튼 사람들이 많은 콘텐츠니까요 ... ...
-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수학동아 l201606
- 사람이 스파이더맨처럼 벽을 타고 오르는 실험은 과연 성공했을까?상상은 어디까지나 상상일 뿐일까? 최근 영국 과학자들은 벽을 타고 오르거나 천장에 거꾸로 매달려 있을 수 있는 동물들을 관찰했다. 그리고 수직 등반을 하려면 어떤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는지 수학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 ...
- [지식] 인터뷰_최수영 교수수학동아 l201605
- 수학의 본질은 아니니까요. 정해진 논리 안에서 추상적인 것을 볼 수 있고, 자유로운 상상을 하는 게 수학의 본질이라고 생각해요. 문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풀어 보고, 자기만의 문제를 만들어 보며 재미있게 수학을 즐겼으면 합니다 ...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05
- 종이접기 기법으로 살아있는 조직을 만들어 토끼에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는 내용이었다. 상상이 되지 않았다. ‘몸속에 종이를 넣으면 녹지 않을까?’ ‘종이가 기관의 모양을 계속 유지할 만큼의 힘이 있을까?’ 궁금증을 가득 안고 황 교수를 만났다. 『공학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좀 더 ... ...
- Intro. 미지의 생명을 설계하다, 디자인 생물학과학동아 l201605
- 인간이 이 욕망을 얼마나 위험하게 보는지를 여실히 보여줬다. 그리고 2016년, 영화 속 상상은 현실이 돼 인간이 디자인한 첫 인공생명체가 태어났다. 과연 이 생명체는 인류의 위협이 될 것인가, 구원이 될 것인가. 생물을 설계하는 합성생물학, 그 명과 암을 살펴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