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상"(으)로 총 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08
- 진화한 이유를 탐구한 윌리엄 해밀턴은 결국 다른 학자들이 상상하지 못했던 기발한 착상으로 깔끔한 ‘협력의 공식’을 완성한다. 이 공식은 ‘해밀턴의 규칙’이라고 불리며 이타성의 진화를 명쾌하게 설명해 줬다. 그 핵심을 불쌍한 수컷 칠면조의 사례와 함께 알아보자.1963년, 유니버시티 ... ...
- Part 2. 남극,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과학동아 l201608
- 탐험가 벨링스하우젠이 보스토크호와 미르니호를 이끌고 최초로 발견한 남극대륙은 상상과는 딴판이었다. 유빙이 떠다니는 거친 해역 중간에 빙하로 뒤덮인 혹독한 땅이 그들을 기다리고 있었다.그러던 1841년, 새로운 증거가 발견됐다.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클락 로스가 이끄는 탐험대가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08
- 제비가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굉장한 기술을 가진 이들에게 포획되었던 것 아닌가 상상해 보기도 했다.외계인이나 우리가 알지 못하는 깊은 바다 속에서 사는 생명체가 굉장한 기술을 갖고 있어서, 제비에게 박 속에 특수한 물질을 생겨 나게 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한 것이 아닐까? 공간이동 기술을 ... ...
- [News & Issue] 초록 은하는 변신 중?과학동아 l201608
- 예컨대, 초거대 블랙홀을 품은 은하가 무거운 은하 주변을 빠르게 돌아다니는 상황을 상상해 보자. 초거대 블랙홀의 활동 때문에 이 은하 중심부의 차갑고 밀도가 높은 가스는 은하 외곽부로 흩어진다. 동시에, 무거운 은하 주변의 뜨거운 가스가 초거대 블랙홀을 지닌 은하 내부로 쏟아져 ... ...
- Intro. 극지의 심장은 뜨거웠다과학동아 l201608
- 남극과 북극의 얼음물을 몽땅 들이마신다면 극지는 어떤 모습일까’. 시작은 작은 상상이었다. 그런데 예상치 못했던 거대한 바닥이 드러났다. 북쪽에는 2000m가 넘는 거대한 산맥이 알프스처럼 펼쳐져 있는가 하면, 남쪽에선 활화산처럼 용암을 내뿜는 ‘불의 고리’가 발견됐다. 수억, 수천만 년 ... ...
- Part 1. 뱀파이어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수학동아 l201607
- 사람이 아닌 존재는 우리의 정체성, 그리고 생존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이 상상하는 귀신의 모습도 동물보다는 사람이 많고, 생판 모르는 남보다는 내 주변 사람들이 많다.요즘은 뱀파이어가 좀 더 활동적이고 사람과 가까운 모습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래서 사람과 친해지고 심지어는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07
- family, 종이나 속보다 상위 분류군)에 속하는 다른 친척이 없다. 물론 그 외모는, 우리가 상상하는 귀여운 원숭이의 모습은 아니다.불길함의 징조가 될 정도로 아이아이의 모습이 기이하긴 하다. 동그랗고 커다란 눈 주변에는 검고 뚜렷한 고리가 있어서 진한 스모키 화장을 한 것처럼 보인다. 양쪽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인공지능 로봇 ‘ 바두게 다린’어린이과학동아 l201607
- ‘바두게 다린’을 이긴 썰렁홈즈. 진짜 100만 달러의 주인공이 되면 하고 싶은 일들을 상상하자 저절로 입가에 미소가 번지는데….“자, 마지막 문제입니다. 여기 바둑판의 검은돌은 사실 원래 있던 돌들이 몇 개 떨어진 상태입니다. 가운데를 기준으로 대칭일 때 검은돌을 원래대로 놓아 주세요 ... ...
- [지식] 지구를 향한 발칙한 상상, 지구가 둥글지 않다면?수학동아 l201607
- 클 때(훌라후프 지구)로 나누어 중력이나 계절, 지형 등을 추측해봤다.샌드버그 교수가 상상한 것과 달리 도넛처럼 생긴 천체는 실제로 있을 가능성이 매우 낮다. 하지만 혹시라도 존재한다면 실제 지구와는 전혀 다를 것이다. 만약 지구가 구나 도넛이 아닌 또 다른 모양이라면 어떤 환경이 펼쳐질까 ... ...
- PART 1. 캐릭터 만드는 4가지 비법수학동아 l201607
- 거꾸로, 빛이 카메라에서 나와 캐릭터의 표면에 부딪힌 다음 조명으로 들어간다고 상상해 보세요. 카메라로 들어오는 꼭 필요한 빛을 훨씬 적은 계산으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골라낸 빛줄기가 결국 조명에서 나와 캐릭터의 표면에 부딪힌 뒤 카메라의 렌즈로 들어가는 빛인 셈이거든요. 꼭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