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전"(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행성 충돌 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011
- 나타났다. 충돌한 위치도 얻어 냈다.이 과정에는 로제타 위성의 공이 컸다. 소행성의 공전 궤도평면은 지구와 일치하기 때문에 지구에서만 관측해서는 궤적을 입체적으로 알아 내기 어렵다. 로제타 위성은 소행성의 궤도평면에서 벗어나 있어 지구와 다른 각도에서 관측할 수 있다. 연구팀은 로제타 ... ...
- 계산법의 혁명, 로그의 발견수학동아 l201009
- 이용해 행성의 공전주기와 태양까지 거리의 로그 값의 비가 1.5라는 것을 발견했다. 행성 공전주기제곱이 궤도 반지름 세제곱에 비례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다.로그가 천문학에 끼친 영향에 대해 프랑스의 수학자 라플라스는 “로그의 발견으로 천문학자의 수명이 두 배가 됐다”고 말할 정도다. ... ...
- 판타스틱! 우주에서 펼쳐지는 마술 쇼어린이과학동아 l201008
- 볼 수 있다. 바로 이 때가 보름달이다. ▲개기 일식 (배양열, 일반부 동상)달이 지구를 공전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또 하나의 우주 쇼인 일식은, 달이 태양을 가려 달의 그림자가 지구에 드리워지는 현상이다. 달이 태양 전부를 가리는 개기일식은 태양과 달의 거리에 따라 최대 7분 40초까지 계속되며, ... ...
- 여름 밤하늘로 떠나는 은하수 여행과학동아 l201007
- 수많은 별들이 뿜어내는 빛이 합쳐져 보이기 때문이다. 또 우리 은하의 원반은 지구 공전궤도면과 같은 방향에 놓여 있지 않으므로, 은하수는 하늘을 대각선으로 가로질러 나타나게 된다.은하수를 자세히 살펴보면 가운데로 시커먼 띠가 지나가며 빛의 길을 두 갈래로 나누고 있다. 성간물질이 ... ...
- part3, 즐겁게 글쓰기과학동아 l201007
- 있다. 혈액 순환의 원리를 밝혀낸 영국 왕실의 주치의 윌리엄 하비, 행성의 공전주기와 공전 반지름의 관계를 알아낸 요하네스 케플러, DNA의 구조를 밝혀낸 제임스 왓슨과 프란시스 크릭, 우연히 페니실린을 발견한 알렉산더 플레밍…. 과학사를 장식한 수많은 소재들로 소설은 풍성해질 것이다. ... ...
- 우리 몸의 칼슘 설명하는 새로운 초신성 발견과학동아 l201006
- 달하는 물질을 내뿜으며 중심부에는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이 탄생한다.한편 두 별이 서로 공전하는 쌍성에서 하나의 별이 탄소나 산소가 풍부한 백색왜성이 될 때는, 다른 한 별에서 물질이 유입돼 이 백색왜성이 불안정해지면서 표면에서 열핵(핵융합반응) 폭발을 일으킨다. 이 초신성 폭발은 ... ...
- 아이, 로봇수학동아 l201002
- 천체까지의 거리를 직접 재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천문학자들은 이처럼 지구의 공전으로 생기는 각도를 이용해 거리를 계산합니다. 이 과정에서 생긴 단위가 바로 파섹이고요. 평소에는 잘 쓰지 않아 생소한 단위지만 알고 보면 천체의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이 담겨 있는 재미있는 ... ...
- The Best Invention of the Year: NASA's Ares Rockets과학동아 l201001
- 발상이 실현되면 우주인은 행성에 순회방문을 하거나 달, 화성, 화성의 두 위성 주변을 공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서 암석을 채집하고 실험을 수행할 탐사선을 보낼 수 있다. 비슷한 방식으로 지구 근처 소행성에도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이러한 예측이 낙관적인지 여부를 증명할 방법은 없다. ...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과학동아 l201001
- 쉽게 빠져나가 뭉친 순서 그대로 내부가 형성됐다. 한편 칼리스토는 안쪽의 위성들과 공전 공명을 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목성 주위를 돈다.갈릴레오가 보내온 이오의 화산 분출 장면목성 위성에 대한 탐사는 1977년 9월 발사된 보이저 1호가 처음이다. 발사 18개월 만인 1979년 3월 목성에 27만 8000km까지 ...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0916
- 전이 지금과 비슷한 기후 환경이었다는 걸 알아 냈다. 기온과 이산화탄소 농도, 지구의 공전궤도가 지금과 비슷한 간빙기였다는 것. 과거에 있었던 이 닮은꼴 간빙기는 2만 8000년 동안 계속되었는데, 지금의 간빙기가 1만 2000여 년째 계속되어 왔기 때문에 약 1만 5000년 이후에는 다시 빙하기가 찾아올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