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휴
공중 장애
아이들링
운행
헛돌기
대기잡음
잡음
d라이브러리
"
공전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두 개의 태양을 가진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10
밝기가 흐려지는 별을 찾아 케플러-16b를 발견했다.케플러 우주망원경은 1년 안팎의
공전
주기를 갖는 지구형 외계행성을 탐색하기 위해 2009년 발사됐다.케플러 우주망원경은 행성에 의한 별빛가림 방법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 행성이 별을 가로지르면서 별빛이 어두워지는 정도를 관측해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09
목성의 위성인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는
공전
주기가 1:2:4이며, 해왕성과 명왕성은
공전
주기의 비가 2:3이다. 흔히 전자레인지를 공진의 사례로 드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틀린 설명이다. 전자레인지에서 나오는 2.45GHz의 마이크로파는 물 분자의 고유진동수와 같지 않다. 전자레인지는 물 분자의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09
발표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알아보기로 하자.이제는 상식이 됐듯이 달의 자전 주기는
공전
주기와 같다. 따라서 지구에서는 항상 달의 한쪽 면만 볼 수 있으며, 이를 달의 앞면이라고 부른다. 달의 뒷면은 아폴로 프로젝트로 세상에 처음 알려졌다. 그 이전에는 달 뒷면에 월인(月人)이 살지도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07
시공간에서 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만드는 궤적을 연구한다.실제로 우주에는 자전이나
공전
등 회전 운동을 하는 천체가 많다. 하지만 호킹-펜로즈의 빅뱅이론은 입자를 이용한 이론으로 우주에 회전을 설명하는 부분이 없다. 우주의 팽창을 설명하는 방정식에 회전과 관련된 부분을 ‘0’으로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1106
회전 속도를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측정했다. 가스 구름은 은하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공전
한다. 은하의 질량을 바탕으로 계산해 보면 별은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중력이 줄어들어 느리게 이동해야 한다. 그런데 관측 결과는 전혀 달랐다. 가스 구름은 중심에서 멀어져도 속도가 줄어들지 않았다(아래 ... ...
암흑물질 후보 윔프 입자 ‘없다 VS 있다’
과학동아
l
201106
7년간의 실험 끝에 계절에 따라 측정값이 변하는 물질을 2003년 검출했다. 지구가
공전
하면서 암흑물질 농도가 다른 지역에 들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2008년에는 더 많은 양의 요오드화나트륨을 이용해 실험 결과를 재현해 보이기도 했다.하지만 미국 콜롬비아대에 근거지를 둔 다국적 암흑물질 ... ...
빛의 속도로 변화하는 시대의 생존
과학동아
l
201106
이후 10년을 더 준비해서 1995년 8월, 윈도우 95를 출시해 2개월만에 100만 카피 판매라는
공전
의 히트를 쳤다. 스마트폰 역시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는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1992년 IBM에서 최초의 스마트폰인 사이먼(Simon)을 개발하고, 마이크로소프트에서 2002년에 모바일 운영체제를 개발하고 ... ...
떠돌이행성 처음으로 발견
과학동아
l
201106
휘게 만드는 현상이다. 연구팀은 중력렌즈 현상을 일으키는 물체를 발견하고, 이 렌즈가
공전
궤도가 없는 행성이라고 판단했다. 2년간 관측한 결과 평균 1만~2만 광년 떨어진 곳에서 목성 크기만 한 10개의 떠돌이행성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런 떠돌이행성은 우리은하 전체로 보면 수천억 개에 이를 ... ...
별이 튕겨져 나간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4
내뿜고 있어요. 제타 오피유키는 태양보다 20배 무거운 질량의 별로, 더 큰 별의 주변을
공전
하고 있었지요. 그런데 큰 별이 폭발하면서 총알처럼 튕겨져 나가게 됐답니다.*광역적외선탐사망원경 : 적외선을 이용해 열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천체를 찾아 사진을 찍는 탐사망원경 ... ...
가장 선명한 달 뒷면 사진
과학동아
l
201104
NASA)이 가장 선명한 달 뒷면 사진을 공개했다.달은 항상 지구를 바라보며
공전
하고 있어 지구에서는 달은 항상 달의 앞면만 볼 수 있다. 우주탐사선 등이 달 뒷면의 사진을 찍은 적은 있지만 지금까지 공개됐던 사진은 대부분 해상도가 낮아 달의 정확한 뒷모습을 알기 어려웠다.NASA가 3월 11일 공개한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