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뉴스
"
우리
"(으)로 총 9,60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찬의말씀] 고정환 "누리호보다 성능 좋은 발사체로 우주 탐사할 것"
2022.10.19
받았으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에서 로켓 분야의 연구를 진행해 왔다.
우리
나라 최초의 우주발사체인 나로호체계종합팀 책임연구원, 발사체품질보증팀장을 거처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 본부장을 역임하며 2022년 6월 21일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을 이끈 주역이다. ▶연구자 정보 확인하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생물 먹이가 된 플라스틱 쓰레기
2022.10.18
있고 이번 연구 역시 기발한 아이디어가 돋보인다. 이런 과학자들의 노력과는 별개로
우리
역시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고 가능한 여러 번 쓰는 습관을 들여 내보내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최소화하는 생활 습관을 들여야 할 것이다. 토양 박테리아인 수도모나스 푸디다는 다양한 유기화합물을 ... ...
[탄소중립 최전선] ①꿈틀대는 탄소저장 비즈니스...척박한 환경을 '기회'로
동아사이언스
l
2022.10.17
중단됐다. 이같은 상황을 잘 알고 있는 시그푸손 카브픽스 책임자는 “포항지진으로
우리
도 교훈을 얻게 됐다”고 밝혔다. 지진이나 재난을 피하기 위한 방안에 좀 더 공을 들이기 있다는 것이다. 시그푸손 책임자는 “비용이 조금 더 들더라도 높은 압력으로 CO2가 용해된 물을 주입하지 않도록 ... ...
류머티스관절염 진단 더 정확하고 빠르게
동아사이언스
l
2022.10.17
자극이 오면 비활성 대식세포(M0)는 M1과 M2라는 두 가지 유형으로 활성화된다. M1은
우리
몸에 침입한 외부 물질을 공격하는 반면 M2는 조직 재생을 담당한다. 질병 진단 및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는 각 세포들의 특성과 세포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실시간으로 파악해야 한다. 기존에는 ... ...
일론 머스크 "우크라이나에 인터넷 계속 제공"…하루 만에 번복
동아사이언스
l
2022.10.16
없다는 입장을 하루 만에 번복한 것이다. 머스크 CEO는 15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
우리
는 우크라이나 정부에 계속해서 무료로 돈을 댈 것"이라고 말했다고 뉴욕타임즈, 가디언 등이 같은날 보도했다. 스타링크는 머스크 CEO가 창업한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제공하는 광대역 위성인터넷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
몸은 코로나19와 어떻게 싸우나
동아사이언스
l
2022.10.16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계략에 대한 모든 것을 알지 못하지만 전염병 사태가 이어지는 동안
우리
는 바이러스에 대해 훨씬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인터뷰] 탄소중립이 문화가 되는 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22.10.15
전 세계적으로 1조원 수준에 불과하다. 자발적 탄소거래 플랫폼은 어떻게 변화할까.
우리
금융경영연구소는 자발적 탄소 거래 시장이 2050년까지 500억 달러(약 67조 원)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50배가 넘는 성장이다. 성장세에 올라타기 위해 황 대표는 “앞으로 복잡한 절차를 단순화하고 자동 ... ...
[기후위기와 산림] 현대판 '노아의 방주'에 소나무를 태우려면
2022.10.13
개체는 친척 관계가 아닌, 정상적으로 교배할 수 있는 성숙한 개체이다. 결과적으로
우리
소나무를 온전히 보존하기 위해서는 최소 4개 그룹별로 500본씩 총 2000 본의 소나무를 방주에 태워야 한다. 아쉽게도 1216종류 모두의 유전적 특성이 분석된 것이 아니긴 하나, 나무 종류별로 평균 3개의 유전적 ... ...
"우주항공청 논의에 철학 없다...'청' 뛰어넘는 법제도 고민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10.12
열린 ‘2022 과학기자대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유튜브 캡쳐 “우주 항공청에 대한
우리
의 철학은 무엇인가. 철학과 전략 속에서 명분과 실리를 찾아야 하지만 지금은 별로 답이 없는 듯 하다.”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우주탐사그룹장은 12일 오후 1시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 ...
실험실 유출 vs 야생동물...코로나19 기원 놓고 논쟁 재점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0.12
이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이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했다. 앤더슨 교수는 “
우리
의 논문은 코로나19의 다른 기원이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면서도 “하지만 이 감염병의 발원지가 동물에 의해 시작됐을 것이라는 증거는 압도적”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가 박쥐에서 다른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