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뉴스
"
생물
"(으)로 총 5,44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구 1756만명 중국판 실리콘밸리 선전 봉쇄령…'코로나 제로' 전략 시험대
동아사이언스
l
2022.03.14
실질적으로 이득이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루스톰 안티아 미국 에모리대 진화
생물
학과 교수는 “중국도 곧 감염의 물결에 직면할 것”이라며 “의료 자원이 빠르게 소진될 것이기 때문에 방역 정책의 전환기를 맞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청 장카이 광저우대 의대 교수는 “코로나 제로에 ... ...
정부 지원 중단 위기 맞았던 동해 울릉분지 해저탐사, 국제공동시추 프로그램으로 화려하게 부활
동아사이언스
l
2022.03.11
54년을 맞은 해양지구과학 분야 최대 규모의 공동 연구 프로젝트다. 기후변화와 지구
생물
권, 지질 연구 등이 주요 주제지만 각국은 해양 분야에서 영향력을 높이는 데 활용하기도 한다. 일본은 만재량 5만6752t급 거대 시추선 ‘치큐(지구)’를 투입하는 등 주요국으로 참여하며 쓰시마분지와 같은 ... ...
T세포가 '혈액 세포'라고? 감염 조직 상주 T세포가 더 많다
연합뉴스
l
2022.03.10
T세포(분홍색 또는 녹색) 주로 순환 혈액에서 발견된다. [독일 '라이프니츠 천연물 감염
생물
학 연구소' 크리스티나 칠린슈키 교수팀, 2022년 2월 '네이처 면역학' 논문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사실 이 발견은 과학계의 오랜 믿음과 배치된다. 지금까지 T세포는 감염에 맞서 싸울 때만 잠시 조직에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P값에 반기를 든 초파리 행동유전학자
2022.03.10
com/watch?v=UFhJefdVCjE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
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 ...
"아마존 열대우림, 곧 황폐화...약 75%가 복원력 상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8
날씨로 인해 복원력 임계점에 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전 세계적으로
생물
다양성과 탄소 저장, 기후변화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1991년부터 2016년 사이 아마존 열대우림의 복원력 정도를 나타낸다. 이전의 모습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현재의 모습이 유사한 ... ...
디지털과 결합한 고
생물
학…사라진 멸종동물이 다시 태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7
선보이기도 했다. 마를렌 도넬리 미국 시카고 필즈박물관 과학 일러스트레이터는 “고대
생물
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식물을 제외하는 일이 터무니없는 일이라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특허전쟁 다음 라운드가 오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7
UC버클리)를 누르고 승리했다. 미국 특허청이 브로드연구소가 약물 개발에 필수적인
생물
에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활용하는 기술을 UC버클리보다 먼저 개발했다고 판단한 것이다. 2020년 노벨 화학상까지 받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은 유전질환 치료제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 ...
[프리미엄 리포트] 몸과 마음을 여는 1조개의 열쇠
2022.03.05
미래를 상상해 보면 어떨까. ※필자소개 문제일.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에서 신경
생물
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신경과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과학과 교수로 후각을 이용한 질병 진단 및 치료법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 ...
O형이 코로나19 위중증·사망 위험 낮은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4
부분이라는 게 연구진의 판단이다. 제롬 브린 영국 국립보건연구원 정신건강
생물
의학연구센터 연구원은 “단백질들이 코로나19 위중증 또는 사망과 어떤 형태의 인과관계가 있고 잠재적인 예방 또는 치료법이 무엇인지 알아내기 위해 후속연구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몸안에 들어간 미세플라스틱 실시간 추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3
레이저 이미징 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생체 내 흡수된 미세플라스틱의
생물
학적 영향과 독성을 명확하게 알아내기 위해서는 살아있는 생체시료에서 미세플라스틱의 위치와 이동, 축적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에는 미세플라스틱과 생체기관에 서로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