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뉴스
"
생물
"(으)로 총 5,44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소중립 앞당길 미
생물
공장
2022.03.22
리파이너리 연구자들도 멋진 성과를 얻기를 기대한다. 1994년 토끼 똥에서 발견한 미
생물
클로스트리디움 오토에타노게눔은 일산화탄소(CO)와 수소(H₂)를 먹고 에탄올(ethanol)을 내놓는다. 이 과정의 대사회로로, 아래 왼쪽에 중간 산물인 아세틸코에이(acetyl-CoA)가 보인다. 최근 연구자들은 그 아래 ... ...
냄새 찾아가는 벌레 담은 ‘웜온어칩’ 폐암도 탐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1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과학자들이 이와 유사하게 개보다 훨씬 단순한
생물
이지만 냄새의 흔적을 찾아 꿈틀대며 암세포 쪽으로 나아갈 수 있는 선충을 이용해 폐암세포를 탐지할 수 있는 기술을 선보였다. 최신식 명지대 식품영양학과 교수 연구팀은 토양에 기생하는 선충을 ... ...
암세포 주변에서만 모양 바꿔 침투해 암세포 죽이는 나노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20
침투하는 결과를 확인했다. 정 선임연구원은 “단백질들이 환경에 따라 형태를 바꿔
생물
학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며 “약물 없이 나노머신에 붙은 분자의 기계적 움직임으로 직접 암세포에 침투해 사멸시키는 새 방식을 제시했고 기존 항암치로 부작용을 극복할 수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의 도시화, 전세계 토끼풀 진화 방향 정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0
환경으로 변화시키고 있고 생명의 진화 또한 변화시키고 있다”며 “도시 환경에 대한
생물
의 적응이 일반적이라면 인간과 생태계에도 연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DNA 역할을 예측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19
모델의 예측 결과를 해석하는 시간을 크게 줄여준다. 에시트 다발 바시나프 미국 MIT
생물
학과 연구원은 “이 모델은 비부호화 DNA의 진화와 앞으로의 진화 가능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새로운 유전자 서열을 설계하는 데 역시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중국 코로나 신규확진 2432명 전방위 확산…시진핑 "코로나 제로 견지"
동아사이언스
l
2022.03.18
실질적으로 이득이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루스톰 안티아 미국 에모리대 진화
생물
학과 교수는 “중국도 곧 감염의 물결에 직면할 것”이라며 “의료 자원이 빠르게 소진될 것이기 때문에 방역 정책의 전환기를 맞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청 장카이 광저우대 의대 교수는 네이처에 “코로나 ... ...
공학한림원 대상에 현택환 교수…젊은공학인상에 김익재 책임연구원·노준석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3.17
노준석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가 선정됐다. 한국공학한림원 제공. 현택환 서울대 화학
생물
공학부 석좌교수가 한국공학한림원 대상을 받는다. 젊은공학인상 수상자로는 김익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AI·로봇연구소장, 노준석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가 선정됐다. 한국공학한림원은 17일 제2 ... ...
文 "
생물
다양성 세계 최고 수준…갯벌 보존에 힘쓸 것"
연합뉴스
l
2022.03.16
문재인 대통령은 22일 "1천여 종의 해양
생물
이 살며 세계 최고 수준의
생물
다양성을 보유한 우리 갯벌을 보전하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전남 보성 벌교생태공원에서 열린 '2022년 세계 습지의 날' 행사에 보낸 축전에서 "정부는 우리와 자연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어갈 수 ... ...
처녀 여왕벌 성페로몬 화합물로 '살인말벌' 물리친다
연합뉴스
l
2022.03.15
수벌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교신저자인 캘리포니아대학
생물
학 교수 제임스 녜 박사는 "수벌은 여왕벌과 벌집 인근에서 짝짓기해 여왕벌의 냄새에 이끌린다"면서 "두 차례에 걸친 현장 실험에서 냄새로 유인된 수천 마리의 수벌을 금세 잡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 ...
광합성·포식 신종 해양미
생물
기후변화 대처 '비밀병기'될까
연합뉴스
l
2022.03.15
이때 해양 미
생물
이 탄소가 풍부한 생체고분자를 자연적으로 생성하면 미래의 바다에서
생물
학적 탄소펌프를 계속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eomns@yna.co.kr (끝)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