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석재
바위
암석
암벽
암반
돌멩이
스톤
어린이과학동아
"
돌
"(으)로 총 1,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집 옆에 있는 공원에 왔어요. 분당천
돌
다리 건너다가 천둥오리 두마리 발견했어요~
포스팅
l
20140424
우리집 옆에 있는 공원에 왔어요. 분당천
돌
다리 건너다가 천둥오리 두마리 발견했어요~ ...
미니정원을 만드는 언니와 아빠 손길ㅎ 베란다에서 큰 화분에
돌
과 나무 풀과 꽃을모아 미
포스팅
l
20140418
미니정원을 만드는 언니와 아빠 손길ㅎ 베란다에서 큰 화분에
돌
과 나무 풀과 꽃을모아 미니정원을 열심히 만드는 아빠와 언니 찰칵~~♡ 언니는 흙을넣고 아빠는 물을 줘요. 향나무 고무나무와 화산석이 쓰여요~~~ ...
고대 세계의 7대 불가사의
기사
l
20140414
공중 정원이 있습니다. 이집트 쿠푸왕의 대피라미드는 알 듯이 피라미드는 이집트의 왕들의 무덤입니다. 피라미드는 2.5톤가량의
돌
을 230만 개 이상 쌓고 매우 정교하고 꼭지점이 정확히 피라미드의 중심에 있게 했다는 것 때문에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에 들어갑니다.그리고 이라크 메소포타미아 바빌론의 공중 정원은 신 바빌로니아의 왕 네무카드네자 ...
경주 체험기 2탄 석굴암 석굴암 체험기
기사
l
20140410
있는 곳이다. 석굴암은 김대성이란 사람이 만들었다. 석굴암은 인공 동굴인데 위에 천장이 동그란 것이 무척 신기했다. 그리고 천장에
돌
이 박힌 것은 현재 기술로도 불가능하다고 한다. 석굴암 내부의 모습이다. 현재는 보수공사 중이고, 불교신자들이 들어가 절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석굴암안의 모습은 가운데 본존불이 있고, 옆엔 본존불의 12제자 ...
조약
돌
로 ‘미니 채석강’을 만들며 지구의 역사를 알아요
돌
에도 유전자가 있는 걸까...변산반도에서 모은 조약
돌
로 만든 채석강 모형
기사
l
20140407
서해안 전남 부안 변산반도로 가족여행을 다녀왔다. 채석강-적벽강이라는 곳에도 갔다. 바다절벽이 신기했고 파도가 만든 해식 동굴과 층층이 싸인 바위들이 지구의 과거 모습을 보여주는 듯 했다. 아빠와 나, 언니와 엄마는 바닷가 주변에서 동글동글 조약
돌
을 ... 됐다. 조그마한
돌
에도 지구의 역사가 숨어 있다니 놀랍다. 이것을 만들지 ...
아빠와 만든 변산반도 모형 채석강과 적벽강 서해 전남 부안 변산반도로 가족여행을 다녀
포스팅
l
20140406
아빠와 만든 변산반도 모형 채석강과 적벽강 서해 전남 부안 변산반도로 가족여행을 다녀왔다.채석강 적벽강으로 산책을 했다. 바다절벽이 신기했다.파도가 만든 해식동굴과 층층이 쌓인
돌
들이 지구에 과거 모습을 보여주는 듯했다. 바다에서 주운
돌
로 채석강과 적벽강, 솔섬을 만들었다. ...
밖에놀러갔다가.
돌
밑에 옹기종기 붙여있는 공벌레를 발견 했어요 그래서 공벌레 집을 지어
포스팅
l
20140405
밖에놀러갔다가.
돌
밑에 옹기종기 붙여있는 공벌레를 발견 했어요 그래서 공벌레 집을 지어 주었어요 공벌레가 좋아하는 것 같아 제얼굴에 웃음이 번젔어요 ...
풍납 토성을 아시나요? 한국의 폼페이, 중요한 500년을 찾아서...
기사
l
20140402
관료들이 함께 하늘에 제사를 드렸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래요. 셋째는, '呂(여)'자형 건물터인데, 이 건물터 주위로 도랑을 파고
돌
을 깐 뒤 숯을 채워두었대요. 숯은 습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나쁜 기운을 막는다는 종교적인 의미를 담고 있대요.'여'자형 건물터 길이는 16미터나 되는데, 왕궁이 아니고서는 이런 큰 규모의 건물을 지을 ...
여러분 고인
돌
을어떻게 만드는지 아시나요? 1.흙을 파서 그틈에다
돌
을 넌다. 2.
돌
사이
포스팅
l
20140330
여러분 고인
돌
을어떻게 만드는지 아시나요? 1.흙을 파서 그틈에다
돌
을 넌다. 2.
돌
사이에 모래를 채운다. 3.그위에 덮게
돌
을 올린다. 4.흙을 뺀다. 5.완성! ...
나무와 이웃을 즐겨 그린 슬픈 화가 이야기 독후감
기사
l
20140329
하였다. 박수근은 착하고 부지런하게 사는 평범한 사람들의 모습을
돌
의 느낌을 빌어 표현했다. 박수근 그림에 단점도 당연히 있다.
돌
에 그린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그림형체를 알아보지 못할 것 같았다. 특히 박수근의 새 라는 작품은 새를 그린 것인지 다른 걸 그린 것인지 제목을 보고서야 알겠다. 참! 치명적인 사건도 있었다. 박수근은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