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신"(으)로 총 9,4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PICK] 분노는 발명의 어머니? 난다 화가, 한다 발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가장 유명한 장의사였다. 그런데 어느 날부턴가 손님들의 전화가 뚝 끊기기 시작했다. 자신의 친구가 죽었는데도 전화 한 통 받지 못했다. 스트로저는 전화국에 찾아갔고,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됐다. 당시에는 전화국의 교환원이 전화를 건 사람과 받을 사람을 연결시켜줬는데, 교환원 중 한 명이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금수저’ 색안경 벗겨낸 노력파 세르게이 볼코프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안전이 아주 큰 사안이라는 점에서 우주인이 하는 일과 비슷한 점이 많다고 말했다. 자신이 좋아하고 성과도 훌륭했던 우주인이라는 직업을 내려놓기가 쉬운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 세르게이는 “스포츠 선수들이나 다른 유명인들이 힘들지만 가장 빛날 때 떠난다고 말하는 것처럼, 열정과 ...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말했다. 이를테면 문제를 푼 다음 지문 아래에 주석을 다는 식이었다. 그는 자신만의 공부 자료도 만들었다. 교과서에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개념을 한 페이지 정도로 도식화해서 정리했다. 그는 ”처음 만들 때는 귀찮고 시간도 오래 걸렸지만, 나중에는 복습 시간이 줄어들어서 오히려 ... ...
- [스타쌤의 수학 공부꿀팁] 몸 쓰는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자료를 조사하고, 각자 잘하는 방법으로 신문을 꾸미게 하자, 수학에 대한 흥미는 물론 자신감이 생겼다는 학생이 많아졌어요.” 최정우 군은 “수학 신문 만들기는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다시 정리할 뿐만 아니라 자료를 조사하며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보다 더 많은 내용을 알게 돼 스스로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생각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믿으니까요. 자, 이번엔 엉뚱한 상상을 한번 해 볼까요? 평소 친하게 지내던 친구가 자신은 사실 외계인이 보낸 로봇이라고 고백한 거예요! 여러분은 친구가 살과 뼈, 단백질과 유전자로 이루어진 사람이 아니라, 기계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에 큰 충격을 받겠죠.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나와 대화를 ...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중국은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달 뒷면에 무인 우주선을 착륙시켰다. 미국과 중국은 자신들의 업적을 치켜세우면서도 서로의 성과를 격려하며 훈훈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하지만 실상은 1960년대 냉전시대 미소 우주경쟁에 이어, 21세기 미중 우주경쟁의 서막이었다. 美, 지구에서 가장 먼 우주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세계 최초로 설계했으며, 원자가 핵분열 할 때 엄청난 에너지가 나온다는 사실을 자신이 설계한 원자로에서 실험을 통해 최초로 확인했다. 그는 물리학계에서도 아주 드물게 이론과 실험을 모두 ‘넘사벽’ 수준으로 할 수 있었던 인물이다. 위대한 과학자인 그도 이면에는 고향인 이탈리아를 떠나 ... ...
- [지구사랑탐사대] 매미 연구로 최우수상 탔어요! 매벤져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환경에 따라 서식하는 매미의 종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기로 했어요. 매벤져스는 각자 자신이 살고 있는 집 주변으로 나가 매미 울음소리를 녹음하고, 탈피각을 채집했어요. 그리고 이때의 온도와 탐사 장소에 녹지가 얼마나 많은지 기록했지요. 매미가 한창 울기 시작하는 7월부터 약 두 달 간 ... ...
- Part 3. 대안은? 버리지도 말고, 놓치지도 말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유기동물보호센터 등의 홈페이지를 찾거나 직접 방문해 유기동물을 확인한다. 4. 자신의 환경에서 잘 돌볼 수 있는 유기동물을 찾으면 준비된 절차를 거친 뒤 입양한다 ... ...
-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고리는 토성 자신의 너비만큼이나 멀리까지 펼쳐져 있다. 암석과 먼지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은 얼음 입자로 구성돼 태양빛을 받아 빛나기까지 한다. 태양계 내의 ‘절대 반지’, 아니 ‘절대 고리’라고 하기에 손색이 없다. 그런 토성의 고리가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