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신"(으)로 총 9,4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수학시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4와 9는 각각 2의 제곱, 3의 제곱이라고도 말할 수 있어요. 기자단 친구들은 각각 자신만의 방법으로 표현한 수로 시계를 만들었어요. 섭섭박사님께서 알려주신 ‘’와 제곱을 이용해 숫자를 표현하기도 하고, 일본어, 중국어로 숫자를 적기도 했지요. 로마자를 이용하거나 숫자를 대신해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상당한 성공을 거뒀다. 잊혀진 일제강점기 과학역사 발굴해야당시 조선에서는 자신의 힘으로 과학을 진흥시키려는 움직임도 활발히 일어났다. 일제에 의존해서는 도저히 조선의 과학을 발전시킬 수 없다는 판단 아래, 조선인들로 구성된 과학계가 직접 나서서 스스로 발전을 추구한 것이었다. 이런 ... ...
- '주노'가 보내온 목성 클로즈업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된 건 썩 잘 어울리는 일이다. 신화 속 제우스는 어떠한가. 구름 속에 몸을 감추며 자신의 아내 헤라의 시선을 피해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는 바람둥이지 않았나. 그래서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11년 8월 5일 베일에 싸인 목성의 진짜 모습을 밝히기 위해 ‘주노(JUNO·JUNO는 제우스의 아내인 헤라의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화 ‘그래비티’의 모티브가 된 인물, 케이디 콜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배경의 우주인들을 사람들에게 소개하려고 했다. 한 예로 3년 전 그는 내게 e메일을 보내 자신의 아들이 다니는 학교 학생들과 화상 통화로 우주비행에 대한 이야기를 해줄 수 있겠냐고 부탁을 한 적이 있었다. 처음에는 솔직히 의아했다. 학교가 미국 동북부에 있어 직접 방문할 수 있는 미국 ... ...
- [맛있는 수학] 수학자의 팬케이크 정렬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가명을 썼다는 겁니다. 당시 한창 수학자로서 명성을 쌓아가던 굿맨은 사람들이 자신을 하찮은 퍼즐에나 관심 있는 수학자라 생각할까 봐 이름을 바꿨다고 하네요. 팬케이크 문제가 이렇게 중요하고 유명한 문제로 떠오를지 꿈에도 몰랐던 거죠. 저도 부끄러워서 피터팍이라는 별명 뒤에 숨어서 ... ...
- 영화 '레플리카'…신체도, 기억도, 감정도 복제할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되돌아가보자. 질병이나 사고로 고통 받는 육체를 버리고 인간의 모습을 한 로봇에게 자신의 기억과 감정을 이식해 영원을 누릴 수 있다고 한다면, 독자 여러분은 어떤 선택을 하겠는가. 인간으로 유한한 인생을 살 것인가, 로봇으로 영생을 누릴 것인가. ... ...
- [수학뉴스] SNS 계정 삭제해도 사생활 샌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교수는 “소셜미디어를 할 때 많은 사람이 자신의 정보만 드러난다고 생각한다”며, “자신뿐만 아니라 친구의 정보도 공개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인간 행동’ 1월 21일자에 발표됐습니다. ... ...
- 수학으로 흔들어봐! 매스댄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만들어 운영하고, 미국여성수학자협회 같은 단체의 학회에서 동료 대학원생에게 자신이 만든 매스 댄스를 소개하는 강연을 하고 있다. 2019년 2월에는 미국 국립과학재단이 주최하는 수학 영상 대회에 지원하기 위해 두 번째 매스 댄스 영상을찍었다. 쉐리치는 “매스 댄스를 통해 수학을 싫어하는 ... ...
- [실전! 반려동물] 턱을 비비는 토끼, 간지러운 게 아니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그래서 가구 모서리나 장난감, 동료 토끼에게 턱을 비비며 자신의 체취를 남기는 거예요. 자신의 영역을 더 강하게 표시하기 위해 다른 토끼에게 오줌을 뿌리기도 한답니다. 토끼와 사람은 잘 맞는다? 토끼는 사람과 쉽게 친해지는 동물이에요. 또 낮에는 눈을 감거나 반쯤 뜬 상태로 선잠을 자기 ...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발간한 인물이다. 책 자체는 해방 이후인 1948년 발간됐지만, 내용은 1930년대부터 자신이 신문, 잡지, 라디오, 강연 등을 통해 대중에게 전달했던 곤충에 관한 말과 글을 한 데 엮었다. 조복성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곤충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고, 여기서 우리가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 끊임없이 ... ...
이전153154155156157158159160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