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d라이브러리
"
연구실
"(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윤제 암블랙박스 파헤치는 구조생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강의실에서나 집에서나 시시때때로 그의 손에 들려지는 것이 있다. 바로 성경책이다.“
연구실
에 나오자마자 볼 때도 있고 강의 끝나고 볼 때도 있는데 일이 너무 바쁘면 보지 못할 때도 많아요”라고 말하지만 신앙생활이 그 자신을 지탱하는 큰 축임을 느낄 수 있다.포항 충진교회 청년부 지도 ... ...
컴퓨터 그래픽스 액체로봇에서 가상공장까지 척척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그래픽스 전문가들이 해야할 일이기 때문이다.포항공대 컴퓨터공학과 컴퓨터 그래픽스
연구실
의 이승용 교수는 “사실적인 물체를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모델링 기법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면서 “예를 들어 사람의 얼굴을 표현할 때 머리카락 ... ...
재미 좇아 생명의 신비 밝히는 물리화학자 조민행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그래서 조교수는 학생들에게 재미있는 것을 찾으라고 한다.
연구실
에 학생들이 들어오면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하라는 말도 같은 이유다. 제자인 곽경원씨는 “선생님이 이미 뭔가를 하라고 했으나 학생들은 구체적인 과제를 받지 않았다고 생각한 경우도 있어요”라며 ... ...
절대 뚫리지 않는 철벽 암호시스템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사용하는 문서편집 프로그램 TeX를 한글화하는데 성공한 것도
연구실
의 자랑이다.현재
연구실
은 고기형 교수를 중심으로 박사후과정 4명, 박사과정 3명과 석사과정 2명의 연구원이 참여하고 있다 ... ...
무인자동화 현장의 두뇌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연구실
에서는 제조업체 정보화, e-Business화를 위한 기술 연구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현재
연구실
은 이태억 교수를 중심으로 박사과정 8명과 석사과정 5명이 참여해 첨단 제조시스템에 혼과 지능을 불어넣는 연구에 여념이 없다 ... ...
과학관 10개보다 중요한 Science Bookstart 운동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중요성을 국민에게 전파하는 전도사가 돼야한다고 주장한다.“지금의 과학기술자들은
연구실
에만 안주해 있거나 과학대중화에 뜻이 있어도 힘을 결집시키지 못하고 있는 형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자기 아이를 과학자로 만들 생각을 하거나, 자신이 과학자가가 된 처지에 대해 자부심이나 ... ...
장애아 애덤 킹의 아름다운 시구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분야에 관심을 계속 갖고 있던 염교수는 임박사와의 만남을 통해 아이오와대 생체공학
연구실
의 책임연구원으로 가게 됐다.염교수는“기계공학자가 중공업으로만 진출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산이다. 여러 방면으로 공학자가 진출할 수 있다는 열린 마음과 다양한 관심을 가지는 것이 ... ...
② 지능ㅣ제갈길 알아서 찾아가는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흡사하지만 실제로 사람처럼 정교하게 기능하도록 만드는데 아직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연구실
에서 개발한 또하나의 생체모방 로봇은 사람의 목과 눈의 움직임을 모방한 시스템이다. 사람은 주변의 상황을 눈을 통해 인식하는데 목을 좌우로 회전하거나 고개를 아래위로 끄떡이고, 그리고 갑자기 ... ...
탁월한 리더십 발휘한 과학자 베스트5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그러나 왓슨이 부임할 무렵에는 재정상태나 규모가 아주 나쁜 상태였기 때문에 하버드의
연구실
과 비교가 되지 않았다. 왓슨은 부임 이후 ‘암의 유전학’에 연구소의 모든 연구역량을 집중하고 놀라운 연구비 모금능력을 발휘해 연구의 재정적 기반을 마련했다. 왓슨의 재임기간 동안 연구소는 ... ...
근육 움직임 모사해 나노구동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이끄는‘마이크로머신 및 마이크로시스템
연구실
’에서 야심차게 내건 연구목표다. 이
연구실
은 2000년 10월부터 과학기술부의 창의적연구진흥사업 신규 연구단으로 선정돼‘디지털 나노구동 연구단’을 설립했다.인공위성 10㎝ 정도로 제어 가능최근 선진국에서는 제품을 매우 가볍고 얇으며 작게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