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d라이브러리
"
연구실
"(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최고의 정보고속도로 펼치는 통신망 구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제공할 수 있는 파장분할다중방식 양방향 광통신망을 시연한 바 있다.광통신
연구실
에는 현재 연구교수 1명, 박사후 연구원 1명, 박사과정 8명, 석사과정 5명의 연구원이 멀티미디어 시대, 최고의 정보고속도로를 위한 광통신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젊음을 불사르고 있다 ... ...
문화재의 영생 과학으로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파악이제 막 지하에서 지상으로 삶의 터를 바꾸게 될 이 소중한 금동관을 들고 보존과학
연구실
로 향해보자. 먼저 연구팀은 금동관의 구조와 현재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현미경과 X선을 이용한다.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현미경으로 정밀 조사한 후 기록해야 하며,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은 ... ...
02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만능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31명의 만성골수백혈병 환자 모두의 증세가 놀랄 정도로 호전됐다. 노바티스사의 종양학
연구실
실장인 데이비드 입스테인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이런 실험 결과는 암이나 백혈병 치료제 연구 역사상 전무후무한 일이었다”고 말했다. 1차 임상실험 결과를 검토한 노바티스사는 즉시 글리벡 생산에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생리·의학 - 세포분열 조절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특히 유향숙 박사가 이끄는 인간유전체 사업단은 너스 박사
연구실
과 긴밀하게 협조해 분열형 효모 전체유전자의 기능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이번 노벨상의 연구업적은 생명현상에 대한 분자 수준의 이해라는 오랜 시간이 필요한 생명과학 기초연구의 중요성을 ... ...
3 교육 : 차세대 나노주자 위한 소우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한양대 과학교실에서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교육을 자세히 살펴보자. 전자현미경 관련
연구실
의 조교가 학생들에게 전자현미경을 사용하는 방법을 직접 보여준다. 그런 후 학생이 조교의 도움을 받아 전자현미경으로 초파리 침샘과 같은 생물시료를 컴퓨터 화면에서 직접 관찰해볼 수 있다. 또한 ... ...
제트엔진 소음 없는 비행기 실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개발해 미국 특허를 획득했다. 항공우주공학과 이덕주 교수가 이끄는 공력음향학
연구실
에서는 현재 11명의 석∙박사과정 연구생들이 풍동실험과 수치해석에 매달리며 우리나라 항공공학의 미래를 설계하고 있다 ... ...
4 SPM이 보여주는 환상의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일정한 간격으로 물질의 3차원 정보를 얻는다. 이 정보는 컴퓨터에 입력되고 대개의
연구실
에서는 간단한 영상프로그램으로 흑백이나 단색의 이미지를 얻는다.갤러리에 등장하는 화려한 나노의 모습을 고성능 컴퓨터에서 구동되는 첨단 그래픽 툴을 이용한 결과다. 이로 인해 좀 더 3차원 이미지를 ... ...
항암제 선두주자로 나선 제약계의 최고참 '동화약품'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겸), 약의 형태를 개발하는 제제개발
연구실
, 약의 활성과 안전성을 연구하는 약리독성
연구실
이 차례로 위치하고 있다. 1층에서 4층까지 이어지는 연구소를 둘러보면 신약이 탄생하는 전과정을 차례로 만나는 셈이다. 70여명의 연구인력이 서로 협력하며 신약 개발을 함께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 ...
분자소재
연구실
기능성 분자로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실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벤처는 국내 폴리에틸렌 중합용 촉매 분야에서 독보적 연구 업적을 내고 있다.현재
연구실
은 도영규 교수를 중심으로 박사과정 6명과 석사과정 4명이 기능성 유기분자 연구에 혼과 땀을 불어넣는라 여념이 없다 ... ...
④ 세계 과학자 공유하는 생명의 데이터베이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1982년 최초의 DNA 염기서열 데이터베이스가 독일 하이델베르크에 있는 유럽분자생물학
연구실
(EMBL)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후 미 국립생물정보센터(NCBI) 밑에 있는 GenBank와 일본 DNA정보은행(DBJ)도 데이터를 축적했다.1990년대 인간유전체사업이 본격화된 후 GenBank에 수록된 정보의 양은 해마다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