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뜨는 힘을 감소시킨다)를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궁극적으로는 날치처럼
바다
속을 헤엄치다가 필요할 때 하늘을 나는 비행체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최해천 교수의 포부다.[자동차의 저속과 고속에서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내려갔다 들리는 PMD의 성능을 실험하고 있다.] ... ...
스파이더맨과 애니멀 어벤져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기린이나 코끼리나 덩치로 따지면 캡틴 아메리카의 배는 되지. 힘도 밀리지 않는다고.
바다
에서 싸움을 벌이면? 우리에겐 수염고래가 있지. 역시 저주파를 사용하는 데 무려 수 백km 밖에 있는 다른 고래와도 대화할 수 있단다. 음파는 물 속에서 공기보다 5배 빠르게 통과하기 때문에 저주파가 ... ...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정상을 오르다 가쁜 숨을 가라앉히며 잠깐 바위 위에 걸터앉아보자. 구름
바다
에 덮인 정상도 좋지만, 주위로 눈을 돌려보면 아름답게 핀 야생화를 볼 수 있다. 바람이 강한 산 위에서는 바닥에 붙어 자라는 것이 많고 꽃잎도 그리 크진 않지만 아름다움은 결코 산 아래의 꽃에 뒤지지 않는다.문순화 ... ...
특명! 우리나라 인어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구해 준 셈이네요~. 그래도 상괭이가 다 나아서 정말 다행이에요~. 그럼 이제 상괭이를
바다
로 돌려보내는 건가요?그렇지는 않아요. 대부분의 고래는 멸종위기종이라 살아있는 고래를 연구할 기회가 많지 않답니다. 죽지 않은 상괭이를 발견해 치료한 일도 이번이 처음이었어요. 고래연구소에서는 ... ...
[시사] 수학으로 배우는 서커스 마다가스카 3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배도 없고 날개도 없던 여우원숭이들은 통나무를 타고 서울과 부산 사이의 거리인 400km의
바다
를 건넜다. 아프리카에서 태풍이 휘몰아치면 나무가 뽑히고, 각종 식물들이 엉켜 자연적으로 뗏목이 만들어진다. 우연히 이 뗏목을 탄 여우원숭이들이 해류를 타고 마다가스카에 도착한 것이다 ... ...
구름vs안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변신할 수 있어요. 안개는 어떻게 생길까요?➊ 수분이 가득한 따뜻한 바람이 차가운
바다
위로 불어오면 해면에서 수증기가 얼어 이류안개가 됩니다.➋ 수증기가 피어오르는 따뜻한 물 위로 찬바람이 불면 수면에서 증기안개가 생겨요.➌ 맑은 날 밤에 땅이 차가워지면 수증기가 물방울로 엉겨 붙어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시작한 상황이야. 그래서 그 위험성을 섣불리 말하기 어렵다는 주장도 있어.실제 지금
바다
에 피해를 주는 것은 마이크로플라스틱보다 큰 쓰레기들이야. 플라스틱조각이 물고기나 새의 몸속에 들어가 생물을 죽게 만든 경우는 많이 확인됐거든. 하지만 마이크로플라스틱 때문에 죽은 생물은 아직 ... ...
Part 5. 동해의 탄생에 얽힌 수수께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시퍼런 색깔에 굴곡 없는 해변. 섬이 거의 없어 탁트인 시원한 시야를 안겨주는 동해. 독도를 품고 있는 동해라는
바다
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는 지 ... 에디(EDDY)를 아시나요?Part 3. 라니냐는 남극 심층해류의 심술일까Part 4. 와편모류 어떻게
바다
의 지배자가 됐나Part 5. 동해의 탄생에 얽힌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발사되고 있다. 잠수함탄도탄은 ICBM(대륙간탄도탄) 버금가는 성능을 갖췄지만
바다
속 깊은 곳에 숨어 있어 타격이 불가능하다. 본국 군사력이 전멸했다 해도 보복 공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강력한 전쟁 억제력을 갖고 있다.]괴물 ICBM, 정말로 요격 불가능할까우주발사체에는 없고, 탄도탄에만 있는 ... ...
지하수의 저주, 싱크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원인도 크게 다르지 않다. 대개 육지 상태에서 생겨났다가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지금은
바다
밑에 있을 뿐이다.그렇다면 도심에서 싱크홀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중국 곳곳에서 발견되는 도심지 싱크홀들은 왜 생겨나는 것일까? 인천의 싱크홀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 역시 답은 지하수다.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