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쪽
내면
밑바탕
안
속
밑동
밑
d라이브러리
"
내부
"(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한 소용돌이가 전하는 공포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그 포말은 단 한 방울도 그 무시무시한 깔때기의 입으로 떨어지지 않았다. 깔때기의
내부
는 전부 매끈매끈하게 빛나는 검은 구슬과 같은 물의 벽을 이루고 있었는데,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45도 각도로 기울어져서 흔들리고 몸부림치면서 빙글빙글 어지럽게 돌며, 나이아가라 폭포가 괴로움에 ... ...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내부
로 들어가면, 12단까지 흙이 차 있다. 그 위로는 속이 빈 원통처럼 생겼고, 원통
내부
로 뻗은 돌의 넓이가 각기 달라서 안에서 보면 들쭉날쭉하다. 실제 관측이 이뤄졌다고 알려진 꼭대기에는 정자석이 2단으로 짜여 있다. 이곳에서 혼천의 같은 소형 관측기기를 설치해 놓고 밤하늘을 관측했던 ... ...
일상에서 출발해 큰 무대 누비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사무실과 다름없지만 천장에 설치된 열교환환풍기가 눈에 띈다. 바깥 공기를 들여보내고
내부
공기를 빠져나가게 하는 열교환으로 에너지를 절약하는 설비다.또한 연구 결과를 실제 검증할 수 있는 실험시설도 세계적인 수준이다. 복사냉난방 및 수배관 실험실이 마련돼, 외부 조건과 관계없이 ... ...
2010 리얼리티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교수는 “오감과 같은 신체의 여러 가지 감각과 신체 각 부위의 위치, 감정과 같은 신체
내부
의 신호들이 일치할수록 사람은 리얼하다고 느끼는 것 같다”며 “영화가 아무리 리얼해도 현실과 동등하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감각 정보들 간에 불일치하는 부분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일 ... ...
끝없는 도전의 산물 NASA 우주복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선외활동 우주복에는 휴대용 생명유지 장치도 추가됐으며 냉각액을 순환시켜 우주복
내부
의 온도를 조절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 경보음을 울리는 기능도 포함됐다.우주왕복선의 우주인이 우주공간을 유영할 때는 두 다리를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다리의 움직임은 고려될 필요가 없다. 하지만 ... ...
2mm 속에서 질병·가짜 찾아낸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해서 대부분의 OCT 시스템처럼 가로 방향으로 빛을 쏘지 않고도 샘플
내부
의 횡단면 이미지를 현미경처럼 한꺼번에 얻을 수 있다.OCT를 만들었다고 해도 실험할 생체시료가 없다면 그림의 떡일 뿐. 의사 자격을 소지하지 않으면 생체시료를 다룰 수 없다는 규정에 따라 처음엔 살아 있는 샘플을 찾기가 ... ...
번개실험으로 살펴보는 정전기 방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앞서 말했듯이 그
내부
의 전기장은 바로 ‘0’이기 때문이다. 미니 번개를 이용해 자동차
내부
에 있을 때와 나무 밑에 있을 때의 차이점을 비교해 보도록 하자. ※ 실험 시 유의사항고전압발생장치는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2만~3만V(볼트)의 고전압을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옷감 한쪽에 주름을 잡으면 자연스럽게 볼록한 입체모양의 옷이 만들어지고, 이런 옷은
내부
에 공간 이 많아서 입었을 때 활동하기 편하다. 실제로 한복 치마의 윗부분이나 원피스처럼 생 긴 조선시대 무관(武官)의 옷 철릭을 보면 수백 개 의 주름이 빼곡하게 잡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전 쟁이 ... ...
심장박동 패턴 해석하려면 IT도 알아야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모르고도 살아남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게 놀랍다고 말했다. 과학
내부
도 마찬가지다. 한 분야를 좁고 깊게 파는 방식은 20세기가 끝나는 것과 함께 더 이상 통하지않는다는 것. 그렇다면 어떻게 한 사람이 일생 동안 깊고 넓게 탐구할 수 있을까.“물론 이런 일은 불가능합니다. 서로 ... ...
신기한 고분자 화합물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물에 넣어 부풀게 하면, 물에 의해 원래 크기보다 훨씬 더 커지기 때문에 물이 분자
내부
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그래서 과 같은 재미있는 현상이 나타난다. 물을 흡수한 고흡수성 고분자는 대부분이 물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굴절률이 물과 거의 동일해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다.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