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쪽
내면
밑바탕
안
속
밑동
밑
d라이브러리
"
내부
"(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한 소용돌이가 전하는 공포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그 포말은 단 한 방울도 그 무시무시한 깔때기의 입으로 떨어지지 않았다. 깔때기의
내부
는 전부 매끈매끈하게 빛나는 검은 구슬과 같은 물의 벽을 이루고 있었는데,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45도 각도로 기울어져서 흔들리고 몸부림치면서 빙글빙글 어지럽게 돌며, 나이아가라 폭포가 괴로움에 ... ...
2010 리얼리티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교수는 “오감과 같은 신체의 여러 가지 감각과 신체 각 부위의 위치, 감정과 같은 신체
내부
의 신호들이 일치할수록 사람은 리얼하다고 느끼는 것 같다”며 “영화가 아무리 리얼해도 현실과 동등하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감각 정보들 간에 불일치하는 부분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일 ... ...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내부
로 들어가면, 12단까지 흙이 차 있다. 그 위로는 속이 빈 원통처럼 생겼고, 원통
내부
로 뻗은 돌의 넓이가 각기 달라서 안에서 보면 들쭉날쭉하다. 실제 관측이 이뤄졌다고 알려진 꼭대기에는 정자석이 2단으로 짜여 있다. 이곳에서 혼천의 같은 소형 관측기기를 설치해 놓고 밤하늘을 관측했던 ... ...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농도가 정자 바깥인 여성의 생식기보다 1000배나 진하다. 정자가 운동성을 가지려면
내부
에 있는 수소이온(H+)을 밖으로 배출해야 한다. 어떻게 정자가 때를 알고 수소이온을 바깥으로 내보내는지는 그동안 의문이었다.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생리학과 유리 키리초크 교수팀은 2월 초 발행된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이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면 형광염료가 달라붙어있는 분자의 밀도라든지 세포
내부
의 이온이나 산성도를 알아낼 수 있다.기존의 형광현미경은 형광의 세기만 구분했다. 그래서 단순히 형광물질이 밀도가 높게 염색됐을 뿐인데도 형광 세기가 높으면 이온 농도가 높거나 산성도가 높다고 ... ...
일상에서 출발해 큰 무대 누비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사무실과 다름없지만 천장에 설치된 열교환환풍기가 눈에 띈다. 바깥 공기를 들여보내고
내부
공기를 빠져나가게 하는 열교환으로 에너지를 절약하는 설비다.또한 연구 결과를 실제 검증할 수 있는 실험시설도 세계적인 수준이다. 복사냉난방 및 수배관 실험실이 마련돼, 외부 조건과 관계없이 ... ...
번개실험으로 살펴보는 정전기 방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앞서 말했듯이 그
내부
의 전기장은 바로 ‘0’이기 때문이다. 미니 번개를 이용해 자동차
내부
에 있을 때와 나무 밑에 있을 때의 차이점을 비교해 보도록 하자. ※ 실험 시 유의사항고전압발생장치는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2만~3만V(볼트)의 고전압을 ... ...
신기한 고분자 화합물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물에 넣어 부풀게 하면, 물에 의해 원래 크기보다 훨씬 더 커지기 때문에 물이 분자
내부
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그래서 과 같은 재미있는 현상이 나타난다. 물을 흡수한 고흡수성 고분자는 대부분이 물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굴절률이 물과 거의 동일해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다.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들어오지 못하지만
내부
에서 생긴 수분은 몸을 움직일 때마다
내부
공기와 함께 구멍을 통해 몸 밖으로 잘 빠져나간다. ※ 주목할 선수 스노보드 김호준 20·한국체대한국 스노보드 사상 처음 올림픽 출전권을 따냈다. 8살 때 우연히 스노보드를 접하고 서울에서 강원도로 ... ...
국내 최초 달리는 로봇 휴보2 전격해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동작도 이전 모델에 비해 훨씬 더 세련돼졌다. 휴보센터 연구팀은 지난 1월 12일 휴보2의
내부
부품을 과학동아에 최초로 공개했다. 2004년 개발됐던 휴보1에서 얼마나 더 발전했는지, 또 발전한 비결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달리는 로봇 휴보2의 껍데기를 벗겨내고 눈부신 ‘속살’을 꼼꼼히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