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쪽
내면
밑바탕
안
속
밑동
밑
d라이브러리
"
내부
"(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오 소장과 함께 방조제 위를 걸으면서 계속됐다. 사무소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방조제
내부
에 고인 물을 바깥으로 빼내는 수문이 있었다. 이름이 ‘배수갑문’이라는데 인공폭포라고 해도 될 만큼 크고 멋있었다. 오 소장은 혹시 발생할지 모르는 홍수에 대비해 만든 수문이라고 설명했다.“여기가 ... ...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단장도 이날 “정밀 조사 결과 일부에서 지속적으로 제기해 온 좌초나 피로파괴, 충돌,
내부
폭발과는 전혀 관련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일부에서 공개를 요구하는 열상감시장비(TOD)영상과 이번에 복원된 천안함 내 6개 폐쇄회로(CC)TV화면, 당시 해군전술지휘통제시스템(KNTDS) 자료를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개선하기 위해 고주파수의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개발하고자 한 미 국방부와 분자
내부
구조를 연구하기 위해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필요로 한 타운스의 이해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연구를 계속하던 타운스는 1951년 분자들로 구성된 시스템이 외부로부터 전자기파를 흡수하면 들뜬 분자들이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펜드리 교수가 관련 연구를 맡았다. 펜드리 교수는 원리를 밝혀내는 과정에서 물질의
내부
구조를 미세한 수준에서 인위적으로 바꿀 수 있다면 빛에 대한 성질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것이 바로 메타물질에 대한 초기 아이디어다. 그리고 그는 1999년 이 아이디어를 논문으로 ... ...
물! 너를 파헤쳐 보자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표면장력이라고 한다. 액체가 표면 장력을 갖는 이유는 분자 간 인력 때문이다. 액체
내부
의 분자들은 주위를 둘러싼 분자들에 의해 모든 방향으로부터 인력을 받는다. 그러나 액체 표면에 있는 분자들은 위쪽 방향에는 인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물속으로 끌어 당겨진다. 그래서 액체 표면에 있는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생기면서 작은 물체 같은 경우 빛에 끌려간다. 구슬처럼 완벽한 구의 형태를 띠어 물체
내부
에 초점이 잘 형성되는 입자가 포획이 잘 된다.광집게를 이용하려면 먼저 보호 안경을 착용해야 한다. 적외선 레이저는 X선 레이저만큼 출력이 세진 않지만 눈에 직접 비추면 시력을 잃을 위험이 있다.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대한 반응일까, 아니면 우리 몸이 지니고 있는 리듬일까.예를 들어 외부와 차단된 건물
내부
의 인공조명을 28시간 주기로 점멸할 경우 우리는 곧 하루가 28시간인 생활에 적응해 살아갈 것 같다. 24시간에서 4시간이 더해진다고 해서 별 차이는 없을 것이다. 과연 그럴까.과학자들은 이런 의문에 대해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전선이 곧 광원이 되는 셈이다. 또 광결정은 특정 빛을 100% 반사하는 성질이 있어
내부
에 반사된 빛을 가두고 증폭시킬 수 있다. 이 공간에 구멍을 뚫고 길을 내면 광집적회로가되고, 이 빛을 한쪽으로 유도하면 레이저가 된다. 박 교수는 100nm~200nm 크기의 미세한 기둥을 세운 광결정에 빛을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있는 중동에 대한 이 고전적인 질문의 답과 해석은 여러 갈래로 나뉜다. 대개는 이슬람
내부
의 종파 간 갈등,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영토 분쟁이 단골 메뉴로 꼽히지만, 미국을 비롯한 서구 각국의 끊임없는 개입 같은 국제 정치구도만으로 충분히 설명이 되지 않는다. 그 중심에는 바로 ‘검은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전달매개체가 부족해진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전달매개체를 공급해야 했다. 게다가 세포
내부
에 축적되는 전달매개체 분자는 대부분 벤젠고리를 가지고 있는 유기화합물로 일정 농도 이상에서는 미생물 세포에 독성을 보이기 때문에 사실상 수 주 동안만 작동할 수 있었다. 미생물연료전지 실용화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