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정
절차
순서
길
단계
노선
항로
뉴스
"
경로
"(으)로 총 2,197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집 커진 미세먼지 관측항공기 더 많은 장비·연구원 싣고 하늘 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황산염 등 2차 생성 미세먼지와 암모니아 등 전구물질의 서해상 공간분포와 국내 유입
경로
확인을 위해 관측비행 수행할 예정”이라며 “중국발 미세먼지 유입을 증명할 수 있는 과학적 자료 확보 및 국외 유입 미세먼지량 산정과 항공관측자료를 활용한 예보 정확도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 ...
15년 쌓은 데이터로 암 억제 마이크로RNA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3.17
박지영 UNIST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유방암 발달에 중요한 신호전달
경로
를 ‘miR-29’로 불리는 마이크로RNA가 집중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이라는 질병의 발달을 억제하는 마이크로RNA도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바이클러스터링 ... ...
[주말N수학] 설탕에 녹아든 달콤한 수학 '슈가플래닛'
수학동아
l
2019.03.09
이 힘이 ‘구심력’입니다. 구심력은 원운동에서 운동의 중심 방향으로 작용해 물체의
경로
를 바꾸는 힘으로, 힘의 방향은 물체의 순간적인 운동방향과 늘 수직을 이룹니다. 그리고 물체가 회전할 때 구심력과 반대방향으로 발생하는 힘이 바로 원심력입니다. 솜사탕 기계를 자세히 보면 정 ... ...
비행기가 지나간 곳엔 비가 내린다?
과학동아
l
2019.03.07
강수량이 증가하는 특징적인 현상을 17차례 확인했다. 이후 연구팀은 공항 인근의 비행
경로
를 조사해 이런 사례가 비행기가 지나갈 때 발생하며, 2~10km 구간의 국지적인 지역에서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위성 데이터와 라이다 관측 등을 통해 이 현상의 원인이 비행기가 만드는 ... ...
충치균이 대장암을 공격적으로 부추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요소에 달렸다고만 생각했다. 하지만 연구 결과 충치균이 대장 내에서 세포끼리 신호전달
경로
에 관여하는 특정분자(FadA adhesin)를 증가시켰고, 이 분자가 아넥신에이원(Annexin A1)이라는 단백질을 생성시켰다. 이 단백질은 충치균이 암세포 주변에 몰려들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잘 성장하도록 자극한 ... ...
뼈 속에 혈관 있다?
과학동아
l
2019.03.06
쥐의 다리뼈에서 발견된 경피혈관(TCV, 흰색화살표). 골수에서 생성된 혈구세포들이 이동하는 주요 통료로 추정된다. UDE,Matthias Gunzer, Anika Grüneboom 단단 ... 새로운 혈관을 발견했다”며 “이 혈관들은 골수에서 면역세포를 내보내는 중요한
경로
로 보인다”고 말했다. doi:10.1038/s42255-018-0016- ... ...
류마티스 관절염 유발하는 염증 반응 제어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몰레큘라셀’ 지난달 22일에 발표됐다. MST1가 NF-κB 신호 전달
경로
에 미치는 영향을 표로 나타냈다. 생쥐에서 유래한 대식세포에 TNFα를 처리해 염증반응을 유도했다. MST1이 결핍된 세포에서는 NF-κB 표적 유전자들의 전사/번역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MST1이 NF-κB ... ...
"오픈액세스 안 하면 '셀' '랜싯' 안 볼거야!" UC의 반란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디지털 도서관)의 정책에 맞춰 연구자가 무료 게재나 오픈액세스 등을 선택할 수 있는
경로
를 제시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 도서관에서 내는 비용을 낮출 방법도 존재한다. (재협상을 통해) 의견 차를 좁힐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하지만 캘리포니아대는 아직 물러설 생각이 없다. 이번 결정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색소 없이 물방울로만 그린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9.03.02
전반사되는 빛도 생긴다. 밖으로 나오는 빛은
경로
에 따라 파장의 마루와 골이 달라진다.
경로
에 따라 파장이 강해지는 보강간섭과 약해지는 상쇄간섭이 일어나며 강해진 일부 파장만 눈에 보이게 된다. 파란색 파장이 보강간섭으로 남았다면 물방울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러한 ... ...
청백색 조명 쬐면 아침 잠 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기존 간상세포나 원추세포와는 달리 비시각적인 것에 반응하고 뇌에 전달되는
경로
도 다르다. 빛의 파란색 영역에 가장 민감해 이를 통해 각성 등 생리 현상이 생기고 노파, 멜라토닌 분비, 심전도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기존 연구는 푸른 빛의 강한 레이저를 직접 조사하는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