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d라이브러리
"
nasa
"(으)로 총 1,90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야쿠르트 이은선 사장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이 돈으로 대회 운영은 물론 해외여행이 드물던 당시에 입상자 전원을 미항공우주국(
NASA
)에 견학보내 대회의 성가를 높였다. 미래의 청소년들에게 투자해야 국가경쟁력이 확보된다는 생각으로 후원해 왔는데 어느덧 20년이 흘렀다. 그는 "입상자 가운데 이공계로 진학한 학생중 가정형편이 어려운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때, 태고의 화성은 원시지구처럼 생명체를 지니고 있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1996년
NASA
의 과학자들은 화성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보이는 남극의 운석에서 화성생명체의 간접증거인 다환식방향족 탄화수소군 PAHs를 발견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과학자들은 생명체의 흔적을 태양계 밖에서 찾을 수 ... ...
우리별 3호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독자개발하는 연구 프로젝트를 항공우주연구소로부터 위탁받았다. 이는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이 캘리포니아대학 내에 있는 제트추진연구소에 상당한 연구 프로젝트를 의뢰하는 것을 보는 듯하다.인공위성연구센터는 그동안 우리별 1-3호 개발을 통해 소형 과학실험위성 개발분야에서 상당한 ... ...
인도의 우주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우주개발에 큰 힘이 실렸다.방갈로르에 자리잡고 있는 ISRO는 미국의 항공우주국(
NASA
)과 같은 곳으로 인공위성과 위성발사체(로켓)을 개발하는 중심축이다. 현재의 직원수는 1만6천8백명. ISRO의 첫 작품은 1971년 10월에 발사한 로히니 125 과학로켓이다. 인도는 이 성공을 발판으로 차근차근 ... ...
행성간 충돌로 달 생성?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못했는데, 이번 관측으로 다시금 주목받게 됐다.루나프로스펙터의 자료를 분석한 나사(
NASA
)의 과학자들은 달의 핵이 달 전체 질량의 4% 정도밖에 안돼 핵질량이 30%를 넘는 지구와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결국 핵이 차지하는 질량비율의 차이는 달이 원래 거대행성의 일부였다가 강력한 충돌로 분리돼 ... ...
1999년 인류 종말은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1999년에 일어날 확률은 지금까지는 0이다. 지구에 근접하는 궤도를 가진 소행성들은
NASA
에서 24시간 계속 감시하면서 충돌가능성을 계산하고, 발견되는 혜성들도 즉각적으로 궤도가 계산돼 지구충돌가능성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1999년에 지구충돌가능성이 단 1%라도 있다고 보고된 소행성이나 ... ...
⑤ 우주 수면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멜라토닌의 분비가 증가하는데도 왕성하게 활동하는 것이 그 예다.그래서 미항공우주국(
NASA
)에서는 1996년 우주에서 멜라토닌 효능실험에 참가할 사람을 모집했다. 거기에 뽑힌 사람은 얼마전 77세의 나이로 우주여행을 마친 존 글렌. 그의 임무는 뇌파, 심장박동, 체온 등을 점검한 23개 첨단 센서를 ... ...
한국 최초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위험성이 경각 되면서 지구 근접궤도를 갖는 소행성(NEO)을 찾고 추적하는 작업이
NASA
를 중심으로 이루어지 고 있지만, 이러한 근접소행성들은 일반 소행성과는 매우 다른 궤도를 가지고 있고, 연구가치 또 한 높다.천문대 김봉규 박사에 따르면, "이번 연구지원은 과학적 연구성과를 목표로 한 것이기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돌려 머나먼 우주 저편으로 아무 말없이 사라져버린다.아서 클라크는 미항공우주국(
NASA
)의 우주탐사선 프로젝트에서 일했던 젠트리 리와 함께 1989 년부터 이 작품의 후속편들을 다시 발표했다. '라마 II' '라마의 정원'과 같은 후속편에서 라마는 다시 지구로 날아와 대규모로 지구 이민들을 ... ...
18일 새벽 사자자리 별똥 축제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94년도에는 유성과의 충돌을 우려해 우주왕복선의 발사계획이 연기된 적도 있다. 현재
NASA
에서는 사자자리 유성우를 피해 우주선과 인공위성의 발사계획을 변경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새벽에 펼쳐질 우주쇼유성우 관측에는 저녁보다 새벽하늘이 좋다. 지구상에서 관측자가 있는 지역이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