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d라이브러리
"
nasa
"(으)로 총 1,902건 검색되었습니다.
2. 별 여행을 실현시킬 미래의 추진기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화학로켓엔진으로는 5백초 이상을 내기 어렵다.실제로 핵열로켓추진을 위해 1960년대에
NASA
에서 시험용 엔진이 제작됐다. 1968년과 1969년 네바다 사막에서 이루어진 분사실험에서 만족할만한 성과를 얻자, 추력 약 34t, 비추력 8백25초의 비행용 엔진을 설계하게 된다. 그러나 1973년 또다시 정치적인 ... ...
5. 신소재 백화점 우주복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우주공간에서의 작업이 제한받을 수밖에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은 티탄섬유를 우주복 재료로 사용하려고 한다. 머지않아 훨씬 가벼운 우주복이 우주여행을 원하는 소비자들을 유혹하며 백화점 쇼윈도에 등장하지 않을까 ... ...
자기공명으로 생명의 비밀 푼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국방, 금융 등 암호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고 있으며, 미항공우주국(
NASA
)에서는 인공위성과 우주선 사이의 정보전송에 이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KAIST 자기공명연구실은 이순칠 교수의 지도 아래 현재 6명이 박사과정을, 2명이 석사과정을 밟고 있다 ... ...
밀레니엄 베스트 사이트 10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모아 둔 각종 사진 등을 곧바로 얻어낼 수 있다.피플스 보이스 어워드 부문을 수상한 ‘
NASA
의 과학’(science.msfc.
nasa
.gov)은 나사에서 제공하는 우주과학뉴스 사이트로 우주과학 분야의 최신 정보들이 수시로 업데이트된다. 강의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클래스룸(Classroom)도 재미있다.전문가와 ... ...
계속되는
NASA
의 실패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있다. 한편에서는 1993년 8억달러를 들인 대형 화성탐사선 ‘옵서버’호가 실종된 후
NASA
가 싸구려 우주계획만 내놓다보니 이런 꼴을 당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 ...
지구관측위성 아리랑1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만드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기술을 놓고 볼 때 선진국의 65% 수준에 도달한 것이다. 한국의
NASA
라고 할 수 있는 항우연이 황무지와 같은 위성분야에 뛰어들어 아리랑 1호 하나만으로 이만한 기술력을 확보했다는 것은 의미가 크다. 게다가 방송과 통신 분야에서 갈수록 위성의 수요가 늘어남을 감안할 ... ...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11호가 달에 착륙하던 1969년에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제트추진연구소(현재 미항공우주국(
NASA
)의 주요 연구기관임)에 들어가 6년 동안 인공위성 개발에 참여한 바 있었다. 그러기에 인공위성 개발에 관해 조금은 안다고 할까. 그런데 1989년 초 체신부가 방송통신위성(훗날 무궁화위성이 됨)을 ... ...
스페이스 셔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생각처럼 경제적이지 못했다. 1파운드(0.4536kg)를 쏘아올리는데 1만달러가 들었다. 그래서
NASA
는 완전 재사용우주선(Reusable Launch Vehicle)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기존의 우주왕복선은 고체연료통은 회수하지만, 액체연료통은 버리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고 생각한 것이다. 완전 재사용 우주선은 ... ...
3백년 동안 사라지지 않는 대적반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세기에 처음 발견된 이래 목성의 대적반은 3백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목격되고 있다. 최근
NASA
는 허블망원경이 찍은 1992년에서 1999년에 걸친 대적반의 모습을 공개했다. 목성의 대적반은 오랫동안 사라지지 않고 있지만, 자세히 보면 모양과 크기, 색깔이 계속해서 변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그런 기적의 소재가 요즘 각광받고 있는 고어텍스다.고어텍스는 원래 미 항공우주국(
NASA
)에서 우주복 소재로 개발된 것으로 아폴로 탐사때부터 우주복에 쓰여왔다. 영하 1백50℃에서 영상 1백80℃까지 급격하게 변하는 우주환경에 적응하도록 개발된 소재이기 때문에 강풍과 폭설이 상존하는 영하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