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구의 문화와 기술을 이해하려 애쓰는 광경을 떠올려보았다.“현재 지구 인구는 7500만이잖아요. 그럼 당신들은 멸종했던 인류를 유전 공학으로 이 수준까지 회복시켰다는 건가요?”윤환은 습관처럼 회색 비니를 끌어내리면서 난간에 등을 기대고 니샤를 바라보았다.“그렇게 표현할 수도 있겠죠. ... ...
- B 블록, 장난감을 뛰어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v1.0’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소프트웨어와 조립 방법을 모두 공개했어요. 이제 재료비 40만 원 정도만 들이면 누구나 점자 프린터를 만들 수 있게 된 거예요. 바네르제는 2014년 가을, ‘브레이고 랩스’라는회사를 차렸어요. 그리고 지금은 미국의 반도체 회사인 ‘인텔 에디슨 칩’과 함께 새로운 ... ...
- Part 1. 뇌까지 착각하게 만드는 VR 헤드셋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하나 더 들어 있어요. 바로 머리의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 앞을 똑바로 보고 있을 때를 0°라고 가정해 봐요. 만약 머리를 들거나 고개를 돌리면 해당 방향으로 각도가 바뀌겠죠? 센서는 이 각도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맞게 화면에 나오는 영상을 바꾸어요. 그래서 고개를 움직일 때마다 내가 보는 ... ...
- [소프트웨어] 게임세계에선 나도 금메달~ 맞혀라, 황금과녁!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활에서 과녁까지의 거리(n)가 500m이고 활에서 화살이 떠나는 순간의 속도(υ0)가 초속 800m라면, 화살이 과녁에 도달할 때까지 0.625초가 걸리고 조준점에서 약 1.91m 떨어진 지점에 화살이 맞는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어요. 그러니까 과녁을 정확히 맞히려면 과녁의 정중앙에서 약 2m 윗부분을 조준 ...
- [과학뉴스] 한국 노인에 꼭 맞는 표준 뇌 모형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표준 뇌 모형은 좌우 폭이 13.6cm로 서양 노인(13.4cm)보다 넓었다. 반면 앞뒤 길이는 16.0cm로 서양인(17.3cm)보다 짧았다. 상하 높이도 한국 노인은 11.5cm, 서양 노인은 12.4cm로 0.9cm의 차이를 보였다.김 교수는 “그동안 한국 노인의 표준 뇌가 없어 정확한 연구결과를 내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며 ...
- [과학뉴스] 5시간 동안 촬영한 페르세우스 유성우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지구의 밤하늘이 화려하게 물들었다. 8월 12일 밤 10시부터 13일 0시 30분까지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쏟아졌다.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스위프트 터틀 혜성이 우주 공간에 남긴 운석 잔해가 ... 한국은 전체의 89%가 빛 공해 지역인 것으로 최근 밝혀졌다(‘사이언스 어드밴시스’ 6월 10일자)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매력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요.” 독도 조사팀은 해양수산부 연구사업으로 1년에 2~3번씩 10년 넘게 독도를 연구해 왔다. 그 덕에 독도의 3차원 지형도가 완성됐고, 탄소연대를 측정해서 독도의 형성 과정을 조사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송 책임연구원은 아직 독도에 대해 알아야할 것이 ... ...
- PART 1. 악마가 좋아하는 소수는?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내 방금까지 외치던 숫자가 뭔지 물었어요.“첫 숫자는 1. 그 다음 0이 13개, 숫자 666, 다시 0이 13개, 마지막은 1로 끝나는 서른 한 자리 소수지. 크리스트교에서 불운하다고 여기는 숫자인 666과 13이 모두 담겨있으니 악마의 소수로 제격이야. ‘벨페고르의 소수’로 불릴 만하지? 크하하하 ... ...
- [재미] 마왕의 탑 9화 불어나는 토끼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로그를 이용한 수식이고, log520은 로그 계산법에 따라 20log5이군. 20과 log5를 곱하면 20×0.699니까…, 답은 13.98이야.’단은 촉수 사이에 있는 문제 옆에 13.98을 새겨 넣었다. 앵무조개 안을 메우고 있던 벽들이 아래로 가라앉으며 공간이 뻥 뚫렸다.“이제 빠져나갈 수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상·중·하로 난이도를 매긴다. 난이도 상 문제를 내면 15cm×15cm의 땅을, 중 문제는 10cm×10cm의 땅을, 하 문제는 5cm×5cm의 땅을 그리고 그 안에 문제와 풀이를 적는다. 최종적으로 그린 땅의 넓이 합계가 가장 큰 모둠이 우승! 물론 자신이 풀 수 있는 문제를 출제해야 한다.어려운 문제를 낼수록 땅을 넓게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