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슈퍼문, 또 떴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초승달이 뜬 시기에 많이 발생한다는 연구결과도 나왔습니다(참고 논문 ➊). 최근 20년 동안 발생한 대형 지진을 분석한 결과, 약 2주 전에 조수간만의 차가 극대화되는 시기가 있었다는 거였죠. 하지만 전문가들은 달의 인력이 커지면서 지구에 영향을 줄 수는 있지만, 재앙을 일으킬 수준은 아니라고 ... ...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엄마로부터 물려받아(50%) 남동생과 공유할 가능성은 50%다. 따라서 근연도는 (0.5×0)+(0.5×0.5)=0.25다.즉, 여동생에 대한 높은 근연도 0.75는 남동생에 대한 낮은 근연도 0.25와 정확히 상쇄된다. 단수이배성 체계에서나 이 ...
- [Tech & Fun] 직장과 집만 고집하는 당신, 변해야 ‘동안’된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영약”“누군가를 만나 서로 위로를 주고받는 것이 젊게 사는 지름길입니다.” 지난 30여 년간 스트레스와 노화페로몬의 관계를 연구한 백융기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의 말이다. 백 교수는 2005년에 예쁜꼬마선충이 주위 환경에서 스트레스를 받게 됐을 때 자신의 유전자를 변형시켜수면기에 접어 ... ...
- [지식] 게이머가 풀어야 할 대난제 랜덤박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아이템의 평균값은 기댓값에 가까워진다. 아돌은 3000만 원을 쓰고 2650만 원을 얻는다. 350만 원을 잃은 거다. 결국, 기댓값이 뽑기 가격보다 낮으면 안 사는 게 좋다.물론 게임을 하다보면 특정 아이템을 구해야 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철 갑옷을 강화하려면 세 종류의 보석이 필요한데 A와 B는 겨우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한 사람도 다치지 않았다. 쓰레기도 기물파손도 없었다. 주도자도 지도자도 없는 100만 명의 군중이 모였는데 그들 모두가 자신의 의지로 싸우지 않을 것을 선택하고돌아갔다. 세계사에 다시없는 풍경이었다.나라에서는 단어를 골랐다. ‘괴담’, ‘허위선동’, ‘근거 없는’. 수많은 문제를 ... ...
- Part 1. 이런 게 다 곡선?!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돼, 곡률이 0인 선이다. 더 많이 휠수록 곡률이 큰데, 직선은 휘지 않았기 때문에 곡률이 0인 것이다.한편 부드럽지 않은 곡선도 있다. 앞서 살펴본 건물의 윤곽선처럼 뾰족한 부분이 있으면 부드럽다고 하지 않는다. 뾰족한 부분은 미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는 직관적으로도 부드러워 보이지 ... ...
- [지식] 저글링 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가능해요. 예를 들어 3, 3, 3의 경우 3+1=4, 3+2=5, 3+3=6이고,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과 2, 0으로 모두 다르기 때문에 저글링이 가능한 거지요.”그렇다면 저글링을 연습하면 얼마 만에 공을 자유자재로 돌릴 수 있을까요?“운동 신경이 좋으면 공 3개로 돌리는 건 하루, 4개는 한 달, 5개는 1년 정도 걸려요. ...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않다. 어른은 206개의 뼈와 32개의 치아를 갖고 있다. 유해가 두 구만 섞여 있어도 최소 500번 이상의 DNA 검사를 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게다가 모든 뼈에서 DNA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기대할 수도 없다.DPAA의 의뢰를 받아 DNA 분석을 진행하는 미군DNA 감식실험실의 2004년 연구에 따르면 성공적 ...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구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 18세기부터라는 의견도 있고, 원자폭탄 실험이 있었던 20세기 중반부터 인류세라는 의견도 있지요. 인류세의 지표로는 땅 속에 묻힌 플라스틱, 살충제 성분, 이산화질소, 메탄 등이 꼽힌답니다. 1. 대상 : 멸종위기 생물에 관심이 있고, 멸종위기 생물을 ... ...
- Part 1. 생물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생물들이 멸종되고 있거든요. 과학적으로 분류된 200만 종만 따져 봐도 1년에 200~2000종이 사라지고 있는 셈이랍니다. 특히 최근에는 양서류가 급격한 속도로 줄어들고 있지요.하지만 이러한 멸종 속도는 추정일 뿐 정확한 건 아니에요. 그래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는 1964년부터 전세계의 야생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