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사람과의 삶을 택한 맹금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높이가 달라진 탓에 확신을 가지지 못하는 것 같았다. 일단 자리를 피하기로 했다.며칠
뒤
현장을 다시 찾았을 때 다행히 새끼 황조롱이들은 어미의 보살핌을 받고 있었다. 적절한 조치로 자연의 새로운 구성원을 지켰다. 경이로운 비행실력도 구조물 앞엔 무용지물 황조롱이는 들판에서 쥐나 ... ...
[과동키즈] 오랜 응시 끝에 종이에 피워낸 보편적인 꽃 한송이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활용됐다. 식물세밀화 연구, 보존은 또 다른 과제국립수목원에서 4년간 일하고 난
뒤
나는 프리랜서로 일을 시작했다. 수목원에서 식물세밀화가로 일하며 식물세밀화를 그리는 것 외에도 식물세밀화가로서 할 일이 많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국은 자생식물 기록을 수집하는 단계지만, 식물 ... ...
그래프│합리적인 자가격리 일수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국가마다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국내에서 자가격리기간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한
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자가격리 기간을 줄일지 말지 신중하게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어요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드디어 마주친 삐뚤란 범인은 바로 이 안에 있어!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나자빠졌습니다. 딱지가 얼른 뛰어가 삐뚤란을 밧줄로 꽁꽁 묶었습니다. 그리고 품속을
뒤
져보니 말캉 다이아몬드가 나왔습니다. “찾았다!”딱지가 보석을 높이 치켜들자 모여든 사람들이 모두 환호성을 질렀습니다. 곧이어 경찰대장과 프로보가 도착했습니다. “역시 우주순찰대! 범인을 ... ...
[기획] 백신을 맞으면 마스크를 안 써도 되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집단면역이 형성되는 정확한 기준은 아무도 모른다”고 말했어요. 전염병 유행이 멈춘
뒤
에야 통계를 바탕으로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지요.게다가 백신을 맞아도 사람에 따라 면역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어요. 이런 이유로 홍기종 편집위원장은 “백신보다 완벽한 게 마스크”라며, “전 국민의 70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성게가 모자를 즐겨 쓴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캐릭터들이 거대한 설탕 슬라임으로 재탄생했습니다. 우선 설탕 2kg을 물에 녹인
뒤
불을 가열해 끈적끈적한 시럽을 만듭니다. 여기에 색소를 넣어 캐릭터의 색을 만들고, 상온에서 살짝 식힙니다. 그럼 말랑말랑하면서도 쉽게 늘어나는 설탕 슬라임 완성! 이때부턴 주무르고 늘렸다가 다시 뭉치는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 아나운서가 꿈? 인공지능에게 맡겨!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하고 싶다면, 다양한 방식으로 ‘강낭콩’이라고 말하는 녹음 파일의 파형*을 준비한
뒤
, 인공지능에게 ‘이렇게 생긴 파형이 ‘강낭콩’의 발음이야’라고 알려줘야 해요. 인공지능은 공통된 특징을 찾아내고 공부하여 ‘강낭콩 음성인식 모델’을 만든답니다 ... ...
[한페이지 뉴스] 구리를 360가지 색으로 알록달록하게 만드는 법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개발했다. 그리고 0.2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두께의 얇은 단결정 구리 박막을 만든
뒤
산화층의 두께를 원자층 수준으로 제어했다. 그 결과 360가지 이상의 총천연색을 띠는 구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구리의 산화층 두께에 따라 구리와 산화층 경계에서 반사되는 빛이 각기 다른 파장을 ... ...
컴퓨터가 무거워졌다? 데이터 무게의 진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등가성 원리’입니다. 이것으로 매년 50%씩 증가하는 데이터를 무게로 계산하면 약 200년
뒤
인 2245년에는 데이터의 무게가 지구의 절반에 이릅니다. doi: 10.1063/5.0019941 질량-에너지-정보 등가 이론은 데이터를 저장할 때 필요한 에너지를 열역학적으로 계산해 질량으로 환산합니다. 질량과 에너지의 ... ...
[인터뷰] “인류 보편적 진화 과정 통해 역사 살펴야”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박물관 전문가로, 2017년 7월 제13대 국립중앙박물관장에 취임해 지난해 10월까지 재직한
뒤
퇴임했다.그가 임기 막바지에 추진한 호모 사피엔스 특별전은 인류가 진화하고 문화와 예술을 탄생시킨 과정을 통해 현생인류의 미래를 조망하고 자연과 공존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내용을 담았다. 역사와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