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 끼 대충 먹는다고 뭐 달라질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장내 미생물이 덜 성숙한 아동의 장내 미생물을 생쥐와 새끼 돼지에 이식한 뒤 실험해보니 놀랍게도 분유나 쌀은 장내 미생물의 성숙을 촉진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병아리콩 가루와 바나나, 콩가루, 땅콩가루 네 가지 음식을 섞어 먹였을 때 효과가 가장 뛰어났죠. 두 연구는 2019년 ...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이전보다 10배 많은 입자 충돌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 교수는 “재가동 뒤 암흑물질 발견과 중성미자의 본질을 탐구한 결과를 가장 기대하고 있다”며 “LHC에서 발견될 새로운 사실들은 인류의 지평을 계속해서 넓혀줄 것”이라고 말했다. [인포그래픽] LHC 발견한 가입자 59종 올해 ... ...
- [수담수담] 수학으로 영화 속 비밀 푼다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시간이 길었어요. 그래서 학교를 오가는 동안 단편 소설을 많이 읽었죠. 대학원에 진학한 뒤에는 수업과 연구로 꾸준히 책을 읽을 시간이 없었어요. 대신 시간을 적게 쓰면서도 의미 있는 활동을 하고 싶어 영화 비평 모임에 참여했습니다. 영화 비평 모임에서 다뤘던 내용을 간간이 유튜브에 ... ...
- [과동키즈] 오랜 응시 끝에 종이에 피워낸 보편적인 꽃 한송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활용됐다. 식물세밀화 연구, 보존은 또 다른 과제국립수목원에서 4년간 일하고 난 뒤 나는 프리랜서로 일을 시작했다. 수목원에서 식물세밀화가로 일하며 식물세밀화를 그리는 것 외에도 식물세밀화가로서 할 일이 많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국은 자생식물 기록을 수집하는 단계지만, 식물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드디어 마주친 삐뚤란 범인은 바로 이 안에 있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나자빠졌습니다. 딱지가 얼른 뛰어가 삐뚤란을 밧줄로 꽁꽁 묶었습니다. 그리고 품속을 뒤져보니 말캉 다이아몬드가 나왔습니다. “찾았다!”딱지가 보석을 높이 치켜들자 모여든 사람들이 모두 환호성을 질렀습니다. 곧이어 경찰대장과 프로보가 도착했습니다. “역시 우주순찰대! 범인을 ... ...
- [특집] 겨울잠, 인간도 가능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산소를 많이 아낄 수 있을 거예요. Q 앞으로의 계획은 무엇인가요?겨울잠에서 깨어난 뒤 신체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지 알아보려면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임상 시험을 해야 해요. 겨울잠에서 깨어난 사람들이 얼마나 빨리 깨어나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죠.우리 회사는 ... ...
- [가상 인터뷰] 파리지옥 손, 섬세한 게 매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쉽게 깨지거나 손상될 수 있는 물체를 부드럽고 섬세하게 잡는 데 탁월했지. 잎에서 잘린 뒤 최대 하루 동안 로봇 손으로 기능할 수 있었어. 하지만 파리지옥 손은 한 번 닫히면 다시 열리는 데 한 시간 이상 걸리는 게 단점이야.이 연구를 이끈 난양공과대학교 재료공학과 첸 샤오동 교수는 “식물을 ... ...
- [기획] 순간 포착! 물질의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관찰하는 데 성공했어요. 연구진은 흩어져 있는 금 원자 세 개에 레이저를 쏜 뒤, 이 과정을 들여다봤어요. 그 결과 원자 두 개가 먼저 결합하고, 이후 나머지 하나가 붙어 분자가 완성됐어요. 또 원자들이 서로 거리를 늘렸다가 줄였다 하며 진동 운동 한다는 사실도 확인했어요. 연구에 참여한 ... ...
- [헷갈린 과학] 달콜달콤해! 사탕 vs 캐러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수분이 적도록 뜨거운 온도에서 끓이지요. 우선 설탕과 물엿, 이외의 원료를 넣고 섞은 뒤, 140~150℃의 고온에서 끓여요. 그럼 재료들은 끈적한 시럽 형태가 되지요. 여기에 원하는 맛과 색을 내는 첨가 물질을 넣고, 원하는 모양의 틀에 넣고 식히는 거예요. 그럼 우리가 좋아하는 사탕이 완성된답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오토마타로 배운다! 행성의 겉보기운동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겉보기운동을 확인해 보세요. 원판 중간에 태양을 두고 양쪽에 지구와 행성을 끼운 뒤 원판 아래에 있는 손잡이를 돌리면 행성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답니다. 이 오토마타로 행성의 겉보기운동을 확인할 수 있는 비결은 ‘기어’ 덕분이에요. 기어는 톱니가 있는 원판이에요. 기어가 움직이면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