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표"(으)로 총 7,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입력해 재조합하는 ‘샷건 시퀀싱(shotgun sequencing)’ 기술이 쓰였다. IWGSC에 한국 대표로 참여하고 있는 서용원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덕분에 밀의 중요 특징을 결정짓는 유전자들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유전자들끼리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발현되는지 밝힐 수 있었다”며 “새로운 품종을 ...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감성, 경험, 신체 요인을 고려해 제품 디자인에 적용하는 인간공학도 산업공학과의 대표적인 연구 분야 중하나다. 윤명환 교수팀은 삼성전자와 함께 2014년 출시된 ‘갤럭시 노트 엣지’를 개발했다. 박종헌 교수는 2017년 카카오가 설립한 딥러닝 연구 그룹인 ‘초지능 연구센터’의 총괄을 맡고 ... ...
- [TECH]大화면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크기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은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의 베젤(bezel)을 줄였다. 베젤이란 디스플레이를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 실제로 화면이 표시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말한다. 애플의 경우 아이폰X부터 화면의 일부를 파내는 노치 ...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Gleevec)’과 암세포 특이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하는 항체인 ‘허셉틴(Herceptin)’ 등이 대표적인 표적 항암제다.표적 항암제는 백혈구 감소나 탈모와 같은 부작용은 적다. 하지만 암세포는 돌연변이가 흔히 일어나고 다양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한 가지 표적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기 쉽다. 일단 ...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정민호 신발교정사(코오롱패션산업연구원 신발MD과정 족부생역학 강사 겸 러너스클럽 대표)가 기자의 신발을 보자마자 한 마디 던졌다. 몇 달 신었더니 바닥이 많이 닳았다. 정 신발교정사는 “바닥이 닳을 정도면 이미 신발의 형태는 무너진 상태”라며 “신발이 발의 움직임을 제대로 잡아줄 수 ... ...
- 중국을 꿈꾸는 과학자들에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만인계획’ 중국 정부는 현재 다양한 외국 과학자 유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천인계획(千人計劃)’이다(www.1000plan.org). 2008년에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해외고급수준 인재유치 계획’의 일환으로 5~10년 동안 2000명 규모의 해외 인재들을 유치해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전기에너지와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요금을 내는 교통카드, 휴대전화의 압력 센서, 금속 탐지 장치 등이 전자기 유도 현상의 대표적인 예다. 발전기의 원리와 종류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발전기라고 한다. 그리고 수력이나 화력, 원자력, 조력, 풍력 등으로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일으키는 설비를 갖춘 곳을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777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내기에서 이길 확률이 55%고, 이기면 베팅한 돈의 2배를 얻고 지면 돈을 돌려받지 못 할 때 대표적인 베팅 전략 5개를 써서 500번 승부해 보면 결과가 다음과 같다. 5가지 베팅 전략! 화끈한 올인 전략은 이기면 한 번에 큰 돈을 벌지만, 한 번이라도 지면 가진 돈을 전부 잃는다. 승부를 500번해서 한 ... ...
- [Culture] 비틀스의 ‘In My Life’ 진짜 작곡가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당시는 미국이 연방정부를 형성하던 시기였고, 이 글은 연방정부를 반대하던 각 주 대표들의 마음을 돌리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 문제는 이들 글이 가명으로 쓰였던 탓에 총 85편 중 12편을 누가 썼는지에 대해서는 세 명의 저자가 모두 사망할 때까지도 밝혀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 ...
- [Origin] 인간 이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확인할 수 있다. 호랑이와 사자 사이에서 나온 ‘라이거(liger)’나 ‘타이온(tion)’이 대표적이다. 라이거는 수사자와 암호랑이, 타이온은 수호랑이와 암사자 사이의 이종교배로 탄생했다. 호랑이와 사자의 경우 공통 조상에서 분리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게다가 호랑이와 사자는 염색체가 1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