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날"(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갑자기 똑똑해진 음성인식, 그 비밀은?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나오는지 각각의 확률도 계산해 정확히 음성을 인식하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어, ‘날씨가’ 뒤에 ‘좋습니다’가 나올 확률이 얼마나 될지, ‘흐립니다’가 나올 확률이 얼마나 되는지가 모형에 들어간다.음성은 정지해 있지 않고 계속 변한다. 사진이 아니라 동영상이라 생각하면 쉽다. 즉 ... ...
- [DJ CHO의 롤링수톤] 콜드플레이의 ‘더 사이언티스트’ 감성 충만 과학자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있지요.“영혼의 시인이 되지 않고서는 수학자가 될 수 없다.”꽃이 흐드러지게 핀 봄날, 심금을 울리는 콜드플레이의 곡에 빠져 글 쓰는 과학자와 시 쓰는 수학자까지 소개했습니다. 오늘은 콜드플레이의 곡을 들어보며 시 한 편 써 보는 건 어떨까요 ... ...
- Part 3. 해저 광구 탐사, 무인잠수정이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맞게 알아서 대처한다면 정말 좋겠죠? 그런 인공지능 자율무인잠수정이 바다를 누빌 날이 멀지 않았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값비싼 광물이 가득~ 해저 광산을 찾아라!Part 1. 여기는 대한민국 탐사광구!Part 2. 해저 광구는 보물창고?!Part 3. 해저 광구 탐사, 무인잠수정이 책임진다 ...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보이저 1, 2호, ‘인터스텔라’ 여행길에서 성간구름 만 날 예정’(2017.2)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702N017‘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2016.3)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603N03 ... ...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해밀턴은 장문의 친절한 답장을 보내왔다. 그가 곧 브라질로 9개월간의 현장 연구를 떠날 예정이어서 당분간 편지를 교환하기 어렵다는 말도 덧붙였다.런던에 남은 프라이스는 몇 달에 걸쳐 해밀턴의 유도과정을 꼼꼼히 점검했다. 남을 돕게 하는 유전자가 정말로 혈연관계를 통해서만 전해진다면, ... ...
- 앱 만드는 선생님 나훈희 교사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정도로 만들기를 좋아하는 나 교사는 프로그래밍도 취미로 배웠다. 그런데 어느 날 스마트폰 게임을 하는 아이들을 보고 교육용 앱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학교 규칙 때문에 아이들이 스마트폰 게임을 하면 못하게 했어요. 그런데 스마트폰 게임을 하는 아이들을 보니 문득 왜 게임만 하는지 ... ...
- Intro. 모순이냐 진리냐? 역설 정복의 꿈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수많은 직업을 대체할 것이다. 언젠가는 인공지능 로봇 이발사에게 인간이 머리를 맡길 날이 올지도 모른다. 그런데 스스로 머리를 자를 수 없는 사람들의 머리만 잘라주는 이발사는 끝없이 자라나는 자신의 머리를 어떻게 할까? 평생 자신의 머리를 자를 수도, 자르지 않을 수도 없는 모순의 삶을 ... ...
- 눈부시게 찬란한 數 원주율 π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의상업체와 손을 잡고 디지털 퀼트 무늬의 옷을 만들어 전시했어요. π-데이처럼 특별한 날에는 디지털 퀼트 옷을 입는 것도 의미 있겠죠?π예술에 도전하세요!π예술가들의 강연을 재미있게 들으셨나요? 예술가 분들과 이야기 나누면서 저도 저렇게 예술작품을 만들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 ...
- Part 1. 수학으로 본 작은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죽는 줄 알았네.”그때 도윤이의 머릿속에 갑자기 한 가지 궁금증이 떠올랐다.“큰일 날 뻔했네. 잠깐 근데 왜 물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거지? 수지는 수영을 잘 하잖아? 아니, 곤충처럼 몸이 작아졌으면 소금쟁이처럼 물 위에도 뜰 수 있어야 하는 거 아냐?”도윤이는 식탁 위에 고인 물 웅덩이를 ... ...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위해 양도·양수 신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물론 개체 구분이 어려워불법 행위가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에 대해서는 동감하고 있었다.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개체를 구분할 수 있을까. 앵무새의 경우 발목에 끼우는 폐쇄발목링으로 구분할 수 있다. 폐쇄발목링은 앵무새가 태어난 지 2주 이내에만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