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시골
기름
지구
지대
유지방
굳기름
d라이브러리
"
지방
"(으)로 총 2,385건 검색되었습니다.
2. 알칼리 이온음료는 왜 산성일까
과학동아
l
199606
결합하지 않는 물을 연결지어 주는 역할을 한다. 식용유와 수산화나트륨이 반응하면
지방
산나트륨염이 만들어져 물과 친한 부분과 기름과 친한 부분이 함께 만들어진다. 이것이 바로 비누가 때를 벗길 수 있게 하는 이유다.비누칠을 한 세탁물이 물로 들어가면 올챙이 모양으로 생긴 비누분자들은 ... ...
1. 식이요법
과학동아
l
199606
어떤 일이 생길까. 몸은 '에너지 과잉상태' 로변하고, 이 남아도는 에너지들이 체
지방
의 형태로 변해 살이 찌게 된다.따라서 '몇일 저녁 안먹기' '다이어트 식품만 먹기' 또는 극단적으로 '물만 먹고 단식하기' 등 평생 계속할 수 없는 방법은 피해야 한다. 실제로 이런 방법이 야기하는 부작용들이 ... ...
1. 대기과학 장기 일기예보가 불가능한 이유
과학동아
l
199605
3월에 규칙적으로 내린 비를 어찌 잊을수 있을 까. 지난 1994년, 1995년 두 여름동안 남부
지방
에서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아 많은 사람들의 애를 태웠다. 그런데 3월에 내린 강우가 가뭄을 어느정도 해갈시킨 것이다. 이처럼 고마운 단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이 기간에 ... ...
숙식제공받고 보초선다. 수도머멕스 개미
과학동아
l
199605
벨트체(Beltian body)라는 물질을 분비하기도 한다. 이 벨트체에는 예외적으로 단백질과
지방
질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개미들이 영양섭취를 위해 반드시 초식동물을 잡아먹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하지만 수도머멕스 개미는 워낙 사나워서 초식곤충은 말할 것도 없고 사슴이나 소와 말같은 큰 ... ...
1. 음식 : 유아·아동기 태아부터 4세까지 DHA 아라키도닉산 공급 필수
과학동아
l
199605
산소의 소모량이 매우 큰 조직이며, 산화를 촉진하는 철분 또한 풍부하다. 만일 뇌
지방
의 산화가 어느 선을 넘어 증가하면 뇌세포막 구조에 이상이 생기는 등 뇌기능의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한 연구에 따르면 과량의 DHA를 섭취한 흰쥐가 미로실험에서 잘못된 목적지로 가는 횟수가 많았다. 산화된 ... ...
스트레스에서 암까지
과학동아
l
199605
못자고 항상 쫓기는 느낌을 가지기도 한다.한 예를 살펴보자. K씨는 현재 40대 초반으로
지방
에서 염소를 기르고 있다. 1993년 가을 병원을 찾은 그의 모습은 몹시 불안했으며, 형제들이 자신에게 무관심하다며 지나친 적개심을 보였다. 식사도 하지 않아 몸이 몹시 여위었다.면담 결과 그는 ... ...
수지침 - 인체의 축소판, 손을 다스린다.
과학동아
l
199605
이때 피부에 주름살 없이 원기가 보존되면서 3개월에 평균 6kg의 감량 효과가 나타나 체
지방
비율이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국립의료원 구강악 안면외과에서는 우수한 진통·진정 효과를 이용하려고 수지침을 적극적으로 병행하고 있다.5. 수지침은 만병통치약인가신경성 통증에 효과, ... ...
인간 버금가는 낙농의 대가
과학동아
l
199604
동물이면 가리지 않고 사육하는 인간처럼 개미도 여러 곤충들을 다양하게 기른다. 온대
지방
에서는 진딧물이 가장 흔하게 길러지는 가축이지만 열대로 갈수록 가축의 종류가 다양해진다.무슨 이유인지 확실치 않지만 열대로 갈수록 진딧물을 보기가 점점 힘들어진다. 그만큼 진딧물을 기르는 ... ...
아마추어천문 단계별 입문법
과학동아
l
199604
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위성은 목성에 비해 적다. 화성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지구의 극
지방
에 해당하는 하얀 색의 극관을 관찰할 수 있다. 금성은 밝기에 비해 볼 수 있는 것이 적지만 달처럼 초승달에서 그믐달로 위상이 변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즐겁다.이밖에 초보자용 망원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 ...
3. 풀어 쓴 디지털사
과학동아
l
199604
준공연대는 서기 682년이니, 주렴계보다 무려 388년이나 앞서 있는 것이다. 또한 최근 가야
지방
에서 발굴된 청동 태극 도형은 중국의 영향을 받지 않은 우리 민족 고유의 상징이다. 설령 중국 것이라 해도 중국이나 다른 동양 국가에서 태극을 국기로 내세우지 않았다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문호 ·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