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태
상황
현황
정세
사정
페노메논
실태
스페셜
"
현상
"(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네이처’ 몸의 노화는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개념이다. 나이 들어 늙는 건 총체적인
현상
으로 얼굴과 몸의 섬세한 조율이 무너지고(따라서 외모가 예전만 못하게 된다) 소화력 같은 생리 기능과 순발력 같은 신체 기능도 떨어진다. 반면 세포의 노화는 세포가 분열을 하는 능력을 잃어버렸음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UHD 영상일까?’라고 물으면 맞출 자신이 없다. 이처럼 눈의 구조적 한계 때문에 일어난
현상
을 필자는 ‘콘텐츠 과잉스펙’이라고 부르겠다. 모든 사람에게 UHD 화질이 콘텐츠 과잉스펙인 건 아니다. 눈이 좋거나(시력이 1.5일 경우 HD의 최적시청거리가 3.27m다) 평소 TV를 가까이에서 보는 사람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열정에 도리어 먹히다
2018.11.10
통제 등 안 좋은 결과를 초래하기 마련이다. 관계에서 뿐 아니라 ‘일’에서도 비슷한
현상
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하지만 강박적인 열정을 갖게 되면 적어도 일을 더 열심히 하게 될 테니까 긍정적인 측면이 있을 것 같기도 하다. 그러면 좋겠지만 캐나다 퀘백대 심리학 교수인 로버트 발러랜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실리콘 원반을 가공해 공극률을 민들레 갓털 수준으로 만들어 풍동실험에서 동일한
현상
을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몸길이가 1㎜ 내외인 곤충은 필라멘트가 배열된 형태의 날개로도 날 수 있다. 레이놀즈 수가 아주 작아 공기의 점성이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요정파리의 일종인 아레스콘(Arescon)속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첫 인상이 중요하다
2018.10.27
나름의 기준을 가지고 다양한 특성들을 유추해 냈다는 것이다. 한 가지 흥미로운
현상
은 주어진 시간이 0.1초, 0.5초, 1초로 늘어날수록, 판단의 내용은 달라지지 않았지만 판단에 대한 ‘자신감’은 점점 커졌다. 충분한 시간을 가진다고 해서 완전히 다른 판단을 내리는 것은 아니지만, 여전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당도가 떨어지고 향도 약하다. 이는 열매가 자라는 동안 엽록소가 부족해 일어나는
현상
이다.- S. Zhong and J. Giovannoni 제공 새 술은 새 포대에 학술지 ‘네이처 생명공학’ 10월 1일자 온라인판에는 이와 관련해 다른 식으로 접근한 논문 두 편이 나란히 공개됐다. 즉 기존 작물화된 토마토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해서인지 더 와 닿았다. 기본휴식활동주기, 즉 울트라디언 리듬을 보이는 또 다른 생리
현상
으로 호르몬 분비가 있다. 특히 스트레스호르몬으로 불리는 코르티솔(cortisol)에서 뚜렷하다. 코르티솔의 분비는 기본적으로 일주리듬을 보이지만 매끄러운 사인 곡선이 아니라 다양한 짧은 주기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르는 걸 모른다고 말하자
2018.09.15
밀어붙이는 경우들 말이다. 지식 수준이 부족할수록 자신의 지식 수준을 과대평가하는
현상
또한 나타난다 (더닝-크루거 효과). 예컨데 정치에 대한 지식이 부족할수록 정치에 대한 자신의 지식 수준을 과대평가한다는 연구가 있었다. 모르는 걸 모른다고 하는 게 그렇게 어려운가 싶지만, 자신의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심리)를 읽는 능력도 발달한다. 최근 연구자들은 몇몇 동물에서도 관찰된 길들이기
현상
을 토대로 인류의 언어 진화가 자기 길들이기에서 비롯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즉 호모 사피엔스의 자기 길들이기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 또는 창발적(emergent) 특성이 언어능력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토룬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팔 잘린 사람은 손목 잘린 아픔을 모른다
2018.09.08
있는 사람들에게 “그래도 할 만 하던데 너는 왜 못해?”라고 하고 만다. 이러한
현상
은 계속해서 취직에 실패하고 있는 취준생, 또 따돌림을 당하고 있는 사람을 바라볼 때에도 나타났다. 한 번도 백수인 적이 없었던 사람과 백수였다가 최근에 구직에 성공한 사람, 예전에 백수였다가 구직에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