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태
상황
현황
정세
사정
페노메논
실태
스페셜
"
현상
"(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연구를 시작한 1980년대만 해도 공감각 소유자가 2만5000명 가운데 한 명꼴로 아주 드문
현상
이라고 추정됐지만 그 뒤 비율이 점점 올라가 2005년 정밀조사 결과 23명에 한 명꼴로 공감각을 경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어떻게 20년 사이 비율이 1000배나 높아졌을까. 이에 대해 저자들은 과거에는 공감각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
2018.03.10
사회에서 유독 남성의 성욕은 어쩔 수 없는 것이라는 이야기가 진지하게 받아들여지는
현상
이 흥미로웠다. 남성의 성욕은 근본적으로 저항할 수 없는 종류의 것이라면, 애초에 남성은 적응적인 사회인으로 기능하기 부적절한 존재임을 시사하는 것일까? 남성은 본능적으로 성폭력을 저지를 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난과 불공정
2018.02.17
있는 가난한 사람들이 이러한 거래에 응하게 된다는 것이다. 해당 연구에 의하면 이러한
현상
은 ‘나는 이런 대접을 받을만한 사람인가?’라는 판단 (sense of entitlement)와 깊은 관련을 보였다. 집안이 부유하거나 잠시 부유한 상황에 처했던 사람들이 가난한 사람들에 비해 자신은 부당한 대접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
2018.02.13
반면 오렌지 과즙에도 칼슘이 풍부하지만 쓴맛은 별로 느껴지지 않는다. 이런 이상한
현상
을 설명할 수 있는 연구결과가 지난 2008년 나왔다. 즉 생쥐에서 칼슘맛 수용체를 찾았는데 단맛 수용체이기도 한 T1R3라는 내용이다. 앞서 설명했듯 T1R3는 T1R1과 복합체를 이뤄 감칠맛을 감지하는데 T1R2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 폭발, 강력한 태양 자기장 뚫을 수 있어야 나타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11
있다. 코로나 질량 방출은 태양 대기 외곽인 코로나를 통과하면서 폭발이 일어나는
현상
을 말한다. 전자와 양성자를 초대량으로 방출하기 때문에 코로나 질량 방출이 일어날 경우 지구에 2~3일 후 큰 피해를 입힌다. 아마리 연구팀은 2014년 10월 발생한 태양 폭발을 집중적으로 연구해 태양 폭발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때문이다. 대신 나이에 관계없이 사망률이 일정하다는 건 동위원소의 반감기와 같은
현상
이다. 즉 각 개체가 언제 죽을지는 알 수 없지만 전체의 절반이 죽는데 걸리는 시간은 일정하다. 예를 들어 짝짓기를 하지 않는 개체들의 사망률인 하루에 1만 마리 가운데 한 마리 꼴로 죽는 경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판단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연습
2018.01.27
않은 사람들에 비해 자리를 훨씬 더 많이 양보하는 경향을 보였다 (50% VS. 15%). 왜 이러한
현상
이 나타날까? 명상을 할 때 흔히 중요시되는 지침 중 하나가 ‘판단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예컨대 우리는 어떤 감정이 밀려올 때 그 감정 자체 때문에 힘들기도 하지만 그 감정에 대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18.01.23
데님이라도 물이 빠지지 않는다면 청바지가 아니다. 그리고 청바지 특유의 물 빠짐
현상
을 가능하게 해주는 파란색 염료는 딱 하나다. 바로 인디고(indigo)다. 인디고의 연간 생산량은 5만 톤(2011년)인데 이 가운데 95%가 데님을 물들이는 데 쓰인다. 청바지가 인디고의 존재의 이유라고 해도 과언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친구 없어! 나만 불행해! 라는 생각이 찾아올 때
2018.01.13
‘나만 친구 없어! 나만 외로워!’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GIB 제공 이러한
현상
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연구자들은 사람들은 비교를 할 때 머리 속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정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사회성’에 대해 생각해보면 사회성이 나쁘거나 고만고만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의 시선과 의무감을 벗어던질 때 최고의 성과가 나온다
2018.01.06
이를 압박감에 질식하는
현상
(choking under pressur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Baumeister, 1984). 이
현상
을 잘 설명해주는 예로 서로 다른 두 대화에 동시에 집중해보라. 또는 책을 읽으면서도 잠깐 딴생각을 해보라. 잠깐만 주의를 여러가지에 분산시켜보면 어느 하나도 제대로 되지 않는 경험을 많이들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