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스페셜
"
정확
"(으)로 총 1,578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우리나라는 만 단위로 끊어서 숫자를 세므로 어차피 억 단위까지 표기할 바에야 좀 더
정확
한 수치를 쓰는 게 올바른 번역일 것이다. 그런데 얼마 전에 번역 원고 파일을 다시 열어 우주 나이를 또 고쳤다. 물론 140억 년으로 돌아간 건 아니고 138억 년으로 업데이트한 것이다. 올해 3월 21일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복원모형이 연상되는 외모였기 때문이었다. 문득 2010년 말인지 2011년 초인지
정확
하지는 아니지만 테라젠바이오연구소 박종화 소장을 만났던 것이 생각났다. 박 소장은 생명정보학 분야의 권위자로 아시아 인종의 기원을 밝힌 국제공동 연구에 참여했고 그 결과는 2009년 ‘사이언스’에 실려 화제가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사실 우리나라 기상청은 그동안 잘못된 예보로 욕을 많이 먹었는데, 이번 추위는
정확
하게 예측했다. 지난해 9월 25일 “올 겨울이 일찍 찾아오고 눈도 많이 뿌릴 것”이라고 발표했으니 말이다. 그런데 이런 예보의 근거가 좀 역설적이다. 지난 여름 북극의 해빙(海氷)이 기록적으로 감소했기 ... ...
초고령화시대에서 新시장 찾다…“ICT·BT 융합시급”
동아사이언스
l
2013.04.08
글로벌아젠다위원회’가 발표한 10대 바이오 유망기술 중 4개(▽재생의학 ▽신속
정확
제약 및 백신 개발과 생산 ▽질병진단 예측 시스템 ▽게놈 서열통한 선진화된 의료서비스)가 보건건강과 관련된 기술이다. 이 기술들은 바이오와 ICT를 베이스로 성장하면 충분히 시장성을 갖출 수 있다. 그는 ... ...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 국가 경쟁력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2.28
수 있다”고 말했다. 권 센터장도 노화를 일으키는 인자를 찾고 작용 메커니즘을
정확
하게 파악하는 등 기초원천 연구가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노화동물모델을 확보하고 노화 연구자원 통합정보 인프라, 신약 후보물질을 빠르게 찾는 시스템(HTS) 등 융합 인프라가 더해지면 산업화를 ... ...
“환자를 우선한 연구가 상업화도 빠르게 만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2.09.10
위한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진다면 임상시험을 앞두고 실시되는 전임상시험의
정확
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성회 교수의 ‘이것만은 꼭!’ △의사가 연구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급선무 △과학자와 의사가 함께 고민할 때 의학 발전 빨라져 △동물실험을 위한 인프라 구축해야 박성회 ... ...
“중복투자 왜 문제되나? 경쟁을 통해 더 좋은 성과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21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3자의 시각으로 보는 게 가장
정확
합니다. 아무리 열심히 연구한다고 해도 산업계에서, 또 소비자의 시각에서 보는 건 다를 수 있죠. 우리 연구가 누구에게 어떤 효과를 줄지 생각하면서 연구해야죠. 소통이라는 게 별 것 아니거든요. 내 ... ...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12.05
등 기준에 따라 분류가 이뤄지고 있다”며 “융합을 위해서는 우선 서로 간에
정확
한 분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IT 융합기술과 바이오 정보, 기기 분야가 기본계획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생명과학 최정점에 있는 계획안인 만큼 IT 정보 분과도 포함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정혁 생명硏 새 원장의 포부… “연구를 취미생활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1.06.21
연구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요.” 특별한 ‘묘수’는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정확
한 진단이다. 기본이 잘 안 지켜지고 있으니 그것부터 개선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지난 5월 취임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혁 원장은 앞으로 생명연을 이끌어 나갈 운영 계획을 20일 동아사이언스와의 ... ...
“미래성장동력 BT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1.05
기획을 잘 다져놓고 그것에 맞게 예산을 따면 보다 알찬 기회를 만들 수 있다. BT 연구는
정확
한 평가를 해서 성과를 내야하는 분야다. 지금껏 현안 중심 해결에 중점을 뒀다면 앞으로는 장기적인 방향성과 목적성을 갖고 R&D 계획을 세워야 한다. ● 범부처 아우르는 유기적인 BT 연구 추진돼야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