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뉴스
"
저장
"(으)로 총 2,572건 검색되었습니다.
'길일 잡고 택배로 자료 보내 첫 영상 만들었다' 블랙홀 첫 관측 뒷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얻어졌다. 측정이 끝난 후 각 관측소의 연구자들은 블랙홀의 데이터가 기록된
저장
장치를 주섬주섬 싸 항공택배를 통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헤이스택 관측소와 독일 막스플랑크 전파천문학연구소(MPIfR)에 보냈다. 엄청난 양의 데이터이기에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것보다 항공편으로 보내는 ... ...
'돌베개 베며 독립투쟁' 아리랑3호·3A호가 하늘에서 본 임정100년史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2년 5월~1934년 10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다목적실용위성 3A호가 지난해 2월 11일 중국
저장
성 항저우 상공에서 촬영한 두 번째 임정 청사 모습. 왼쪽으로는 항저우시 상징인 서호가 보인다. 전장 임시정부(1934년 11월~1937년 11월) 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다목적실용위성 3호가 2015년 11월 1 ... ...
이산화탄소, 석탄으로 되돌렸다
과학동아
l
2019.04.09
교수는 “고체로 변한 탄소는 전자를 많이 붙잡고 있어 슈퍼커패시터(고성능 전기
저장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며 “시간을 되돌릴 수는 없지만 이산화탄소를 석탄으로 되돌릴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467.019.08824. ... ...
박원석 원자력연구원장 “사용후핵연료 연구할 제3의 장소 찾겠다”…일부 연구기능 이전 시사
동아사이언스
l
2019.04.03
AI)을 활용한 융합연구다. 불과 수년 내에 원전에 마련된 사용후핵연료
저장
시설이 포화상태에 도달하는 가운데 박 원장은 사용후핵연료 기술 개발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그는 “노후화된 원전 제염 해체를 환경친화적으로 해야 하고 사용후핵연료 처리 기술도 개발할 수 있다고 본다”고 ... ...
“소재 연구 벽 허물자” 소재 연구기관 협의회 출범
동아사이언스
l
2019.04.03
2일 경남 창원 재료연구소에서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홀로그램 소자와 수소 에너지
저장
소재 등 미래형 소재 개발을 위해 기관의 벽을 허문 협력 방안의 필요성과 방법이 논의됐다. 과기정통부는 “소재는 연구개발부터 상용화까지 20년 이상 긴 기간이 소요되며 실패확률이 높은 반면, ... ...
포항공대-연세대 국내 첫 블록체인 캠퍼스 만든다
연합뉴스
l
2019.04.02
연세대와 공유해 융합지식 공유 중심지로 활용할 방침이다. 보팅은 투표 결과가 분산
저장
돼 공유되기 때문에 투명성과 무결성이 보장돼 각종 투표나 학생 생활 조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포항공대는 두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정착하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학생증·증명서 발급, 기부금 관리 ... ...
"초격차 지킨다"…삼성·SK하이닉스, 작년 R&D비용 '신기록'
연합뉴스
l
2019.04.02
주요 연구개발 성과로 세계 최초의 차세대 스마트폰용 256기가바이트(GB)급
저장
매체 UFS 양산, 세계 최초의 차세대 10나노급 8기가비트(Gb) DDR4 D램 양산, 세계 최고 속도의 5세대 V낸드 기반 PC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양산 등을 꼽았다. 반도체 코리아(PG) 그러면서 "세계 IT업계에서의 위상을 더욱 ... ...
‘뇌를 닮은 컴퓨터’에 쓰일 '뉴로모픽'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1
외부의 에너지가 끊겨도 +극과 –극을 분리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물질로 정보 처리와
저장
에 유리하다. 연구팀은 이 성질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뒤 이를 이용해 인공지능 신경망을 만들었다. 이 신경망으로 숫자를 구분하는 패턴 인식 실험을 한 결과, 숫자를 제대로 인식하는 ... ...
차세대 2차전지 리튬황전지 안정성 높이는 공정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1
있다. 그 중 리튬황전지는 현재 널리 쓰이는 리튬이온전지보다 이론적으로 에너지
저장
능력이 약 5배 높고 양극재로 사용되는 황 자체도 자원이 풍부하고 가격이 저렴해 차세대 2차전지로 불린다. 하지만 황은 매우 낮은 전기전도성을 갖으며 충∙방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황의 중간 생성물이 ... ...
日최첨단 기술로 7000㎞밖 호주서 수소 운송 추진, 한국도 운송기술 집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3.31
수소를 담아오는 방식도 있다. 암모니아는 1㎥당 120kg의 수소를
저장
할 수 있어
저장
용량에 있어선 최고다. 암모니아는 현재 암모니아를 제작할 때 쓰는 하버 보쉬법을 그대로 쓰면 돼 따로 인프라를 투자할 필요가 있다. 재생에너지 강국인 호주는 수소기술 로드맵에 액화암모니아를 만들어 세계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