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파"(으)로 총 1,890건 검색되었습니다.
- 3 통신·방송용 상업위성 세계 구석구석 연결, 동시생활권으로과학동아 l1992년 09호
- 따라서 트랜스폰더에는 증폭기 외에 주파수 변환기가 포함된다.통신위성이 사용하는 전파는 세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즉 6/4GHz, 14/12GHz, 30/20GHz이며 각각 C밴드, Ku밴드, Ka밴드라고 부른다. 숫자중 첫번째 것은 지구국에서 위성으로 향하는 전파(up-link)이며, 그리고 두번째 숫자는 ... ...
- 2 해류·바람·환경오염 지도 만든다과학동아 l1992년 09호
- 고도 측정기는 13.7 GHz 주파수를 인공 위성에서 해수면으로 발사하여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파의 주행시간과 반사 신호의 펄스 파형 모양을 정확히 측정하여 인공위성과의 거리, 해양의 파도 높이를 20㎝ 이내로 측정한다.특히 고도측정계로는 해면의 등고선 측정을 통해 지구의 기준반경인 ... ...
- 신약개발로 각광받는 세계의 전통약물과학동아 l1992년 08호
- 중국의 전통의술은 중국문화의 영향권 아래에 있었던 한국과 일본 베트남에 자연스레 전파됐다.우리나라에서 민간약을 질병치료에 이용한 역사는 단군신화로 거슬러 올라간다. 환웅천왕이 백성에게 쑥과 산마늘의 식용방법, 약효와 효능 용법 등을 가르쳐 주었다는 기록을 삼국유사에서 찾아볼 수 ... ...
- 밝은 성단(星團)과학동아 l1992년 08호
- 후 작고 밀도높은 물체들로 부숴져 소위 밀리초 펄사가 되어 회전하는 까닭에 그들의 전파가 지구엔 진동현상으로 도달하는 것도 흥미롭다. 대부분의 펄사들은 약 1초에 한바퀴씩 회전하지만 이 희귀한 밀리초 맥동성은 얼마나 빨리 회전하는지 무선 표지가 빛의 속도의 13%의 속도로 보내진다. ...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시야는 거의 완전히 방해받고 있다. 전파망원경은 우리은하의 중심에서 나오는 강력한 전파에너지원을 찾아냈다. 그 근원은 매우 작은데 심지어 태양계보다도 더 작은 것으로 밝혀졌다. 상당수의 과학자들은 그것을 거대한 블랙홀로 이야기하고 있다.사수자리 근처의 하늘은 온 하늘에서 가장 ... ...
-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있는 NGC 4486(M87)이다. 우리로부터 약3백20만광년의 거리에 있는 이 은하는 아주 강한 전파원이지만 오래 노출된 사진 건관상에는 정상적인 타원은하(E0)이다. 그러나 노출시간을 짧게준 건판에서는 은하중심으로 부터 세부분으로 나뉘어진 제트(jet)가 분출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직도 이 제트의 ... ...
- 2 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화합물 ${C}_{60}$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제조에 성공한 과학자들은 엉뚱하게도 천문학자들이었다. 이들은 1970년도 중반에 전파천문학적 관찰결과로부터 은하계에 탄소로 이뤄진 화합물이 있음을 확인하고 이 화합물의 구조를 알아내기 위한 실험들을 해왔다.1984년 미국 뉴저지의 엑슨(Exxon)석유회사의 연구소에서 흑연을 레이저광으로 ... ...
- 새기술 새발명과학동아 l1992년 07호
- E램프는 고주파전파신호로 필라멘트를 대체한 것. 스위치를 켜면 빠르게 진동하는 전파가 전구안의 기체혼합물을 자극하게 된다. 그러면 이 기체들은 전구의 안쪽표면에 코팅돼 있는 인(P) 성분을 세차게 때려 빛을 발한다.형광램프가 전극을 활용해 빛을 내는데 반해 E램프는 전극을 사용하지 않기 ...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점에서 출발했다는 것이다.이것이 약 1백50억년 전에 있었다고 추정되는 빅뱅이다. 1965년 전파 천문학자인 펜지아스와 윌슨은 바로 이 빅뱅으로부터 남겨진 빛인 우주여광(우주배경복사)을 발견함으로써 이 이론을 입증했다. 정확히 빅뱅이 어떻게 시작했으며, 어떻게 그 이후 우주의 진화에 영향을 ...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과학동아 l1992년 07호
- 극히 적다는 것은 틀린 애기가 아닐 것이다. 현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산하 천문대에 14m 전파망원경이 있고 1.8m 광학망원경이 건설중이며, 대학에서 보유하는 40~60cm 크기의 망원경이 우리나라에 있는 관측 장비의 전부다. 우주시대를 맞이하여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들을 포함해 국민들의 우주에 ... ...
이전153154155156157158159160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