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16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음파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부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영향을 주는지 원자력현미경으로 관찰해 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
지 '저널오브더메카닉스앤피직스오브솔리드' 5월호에 실릴 예정이고 지난달 18일 온라인으로 먼저 공개됐다 ... ...
"동아시아 내륙 사막화 돌아갈 수 없는 지점 건넜다" "최악 폭염·산불 한반도 더 자주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분석해 폭염과 가뭄이 최근 20년 사이에 점점 잦아지고 심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기상측정소와 인공위성을 이용해 몽골과 주변지역의 7~8월 기온과 토양 습도 데이터수십 년치를 확보했다. 여기에 토양 수분에 민감한 나무와 폭염시 유독 잘 자라는 ... ...
“걸을 때 왼쪽 무릎 더 구부려요”…걸음걸이 분석하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이 연구 결과는 지난해 1월과 7월 국제전기전자학회(IEEE)가 발행하는 오픈 액세스 국제
학술
지인 ‘IEEE 액세스’에 2편의 논문으로 공개됐다. 국내와 해외에서 각각 1건의 기술 특허도 출원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전국성 박사과정 연구원은 “현재 부산 고신대병원에 보행분석 시스템을 설치해 ... ...
그린란드 빙하 1.4km 아래에서 발견된 나뭇잎…“그린란드는 한 때 ‘녹색땅’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것으로 전망된다. 폴 비어만 미국 버몬트대 지질학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국제
학술
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15일자에 그린란드를 덮고 있는 얼음이 지난 100만 년 동안 최소 한 차례 이상 대부분 녹아내린 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그린란드의 얼음이 예상보다 훨씬 더 쉽게 녹을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만년 전 매머드 게놈 해독해보니
2021.03.16
사체가 종종 발견된다. 때로는 뼈뿐 아니라 살도 남아 있을 정도다. 지난 2008년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는 매머드 게놈의 70%를 해독한 결과가 실려 주목을 받았다. 그 결과 코끼리과(科) 동물의 진화 경로가 밝혀졌다. 추가적인 게놈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코끼리과 동물은 약 530만 년 전 ... ...
서울대 도입한다는 신속PCR, 유행상황·검사방식 적절히 고려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연구팀은 지난해 12월 RT-LAMP 관련 연구 81개에 대한 문헌 리뷰를 해 그 내용을 국제
학술
지 사이언티픽리포트에 공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정제를 거치치 않은 일반검체의 경우, RT-LAMP의 민감도는 약 78%로 나타났다. 일반 검체에서 RNA를 따로 정제할 경우 민감도가 약 94%로 확인됐다. 이런 ... ...
"약탈적 저널 한국 수학계 좀먹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문화다. 한상근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전화 통화에서 피인용 지수에 의존하지 않는
학술
검증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교수는 "미국의 주요 대학처럼 스스로 만든 검증 시스템이 없으면 피인용 지수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며 "일본의 경우 논문 검토 위원을 사전에 공개하고 ... ...
'3억 상금 반납 거부'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 결국 법정 선다
2021.03.16
재직 시절인 2004년 세계 최초로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추출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실었다. 관련 연구성과로 대통령상인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과 상금 3억원을 받았다. 그러나 논문이 조작된 것으로 드러나 2005년 서울대에서 파면됐고 과기정통부는 2006년 황 전 교수의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래핀 뛰어 넘는다는 '보로핀'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4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12일 차세대 전자소재로 주목받는 그래핀에 이어 최근 2차원 물질 가운데 가장 관심을 모으는 ‘보로핀’의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그래핀이 흑연 한 층에서 떼어낸 2차원 물질이라면 보로핀은 붕소의 한 층으로 이뤄진 물질이다. 크기가 수 나노미터(nm·10억분의 1미터 ... ...
[프리미엄 리포트] AI의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
과학동아
l
2021.03.13
현실의 공정성을 반영하는 수정을 끊임없이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9년 10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의료 서비스가 필요한 환자를 예측하는 AI가 인종 차별을 한다는 연구결과를 낸 브라이언 파워스 브리검여성병원 부원장도 “알고리즘 편향을 측정하는 툴은 존재하지만 이를 활용한다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