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16건 검색되었습니다.
총격 사고 美 콜로라도주, 고교생 5명중 1명 총 쉽게 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9
조사를 진행해 20%가 권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소아과학저널(The Journal of Pediatrics)’ 29일자에 발표했다. 이들은 설문 조사에서 “매우 쉽다” “쉬운 편이다”로 응답해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권총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 ...
코로나19 고개 다시 들었다…WHO 현황판 각 대륙 다시 증가세
동아사이언스
l
2021.03.28
확산세가 빨라졌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아프리카 질병통제예방센터 연구팀은 24일 국제
학술
지 ‘랜싯’에 재유행이 시작됐음에도 아프리카의 보건 조치가 이전 유행보다 오히려 줄어들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백신 접종 속도를 높이고 있는 미국은 확진자 규모가 줄어든 모습이다. 미국의 27일 ... ...
어린이·청소년 코로나 백신 언제쯤…제약사들 임상 속속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3.28
공감하고 이에 대한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중국 시노백은 22일 베이징에서 열린
학술
회의에서 자사가 만든 코로나19 백신이 3~17세 어린이와 청소년에게도 효과적이고 안전하다고 밝혔다. 시노백은 3~17세 어린이와 청소년 500명에게 저용량, 중간용량을 투약한 결과 저용량을 투약한 2명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먹이사슬 타고올라간 '신경독' 최상위 포식자 위협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8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26일 미국 남부 아칸소주에서 발톱에 청어를 움켜쥐고 비행하고 있는 대머리 독수리의 사진을 표지에는 담겼다. 이 대머리 독수리는 유유히 먹이를 낚아챈 상태로 비행하며 최상위 포식자로서의 위용을 드러내고 있지만 발톱에 움켜쥔 청어를 먹을 경우 죽음에 이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실험실에서 탄생한 태아의 씨앗 '배반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27
배아나 태아가 사망하는 임신 손실의 원인을 알아내는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25일 서로 다른 두 세포를 이용해 배반포와 유사한 조직을 만든 두 연구를 표지 기사로 선정했다. 우 준 미국 텍사스대 분자생물학과 교수팀은 미국립보건원(NIH)에 등록된 ... ...
코로나19 바이러스 입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입 안의 세포를 감염시킨다는 증거를 발견했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메디신에 25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 영국 웰컴생어연구소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연구팀도 함께 참여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입 안의 세포에도 침투할 수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해 ... ...
우울감은 당신의 뇌를 잠식한다 …뇌 연구 최전선으로 떠오른 '코로나 우울'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한 조사에서 젊은층의 우울증이 코로나19 이전보다 2배 증가했다는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정신과연구'에 공개했다. 미국 인구조사국도 지난해 12월 코로나19로 불안이나 우울증을 겪는 미국인이 42%에 이른다며 2019년보다 11%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 뇌 유전자에서 우울증 치료 실마리 ... ...
산업화 이후 뉴저지주 해수면 해마다 2.5mm 상승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총 6개 지역 해안의 ‘해수면 버짓(Sea-level Budget)’과 해수면 높이를 분석한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인터넷판 23일자에 실었다. 해수면이 상승하면 지대가 낮은 섬이나 도시, 토지가 영구적으로 침수될 수 있다. 폭풍으로 인한 홍수의 위험성과 피해 정도도 커지기 때문에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과학자 사회의 자화상
2021.03.25
우린 이미 현대 과학자사회가 겪고 있는 과학출판의 구조적 모순을 통해, 400년이 넘은
학술
출판 시스템과 대학이라는 낡은 시스템에 그 어떤 정당성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살펴보았다5. 즉, 과학생태계의 엘리트주의가 오래된 시스템이라는 이유만으로는, 이 시스템을 정당화할 수 없다. ... ...
[과기원은 지금] 김도현 KAIST 교수, 마이크로섬유 대량생산 공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25
그리는 공정이 필요없어 대량생산에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미국화학회(ACS) 나노’에 2월 24일 공개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오는 31일 서울역 회의실에서 사업화유망 기술교류회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교류회는 DGIST가 보유한 정보보안분야 기술을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