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자
의뢰인
고객
단골
환영
사건 의뢰인
정신병자
d라이브러리
"
환자
"(으)로 총 2,777건 검색되었습니다.
3. 아시아로 세계로 아웃 오브 코리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빈도가 일반 집단에 비해 높다. 유럽에 비해 아시아 지역으로 갈수록 알파-탈라세미아
환자
를 더 흔히 볼 수 있다. 이는 그 지역에서 유행하는 말라리아에 잘 걸리지 않는 우월성이 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잡종강세가 건강한 민족 만들어잡종강세는 유전병에도 적용된다. 근친결혼이 심한 ... ...
잃어버린 줄기세포의 희망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결국 ‘조작’이었다. 황 교수팀에게 ‘줄기세포 원천기술’이 남아있더라도 난치병
환자
들이 의지했던 희망은 이미 아련해졌다. 거짓은 결국 과학에 대한 신뢰를 갉아먹게 될 것이다.서울대는 12월 15일 조사위원회(위원장 정명희 교수)를 꾸려 지난해 11월 본격 제기된 윤리문제부터 최근 ... ...
1. 대한민국 최고과학자의 몰락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나타낸 것이 ‘DNA지문’이다. 유전정보가 다르므로 파형도 사람마다 다르게 나온다.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에 사용된 체세포와 복제배아줄기세포의 유전자는 같기 때문에 DNA지문도 당연히 같다 ... ...
북극곰도 겨울잠을 잘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원리를 이용한 수술은 하고 있어요. 바로 저체온 수술법이라고 부르는 방법인데요.
환자
의 체온을 낮춰 수술을 하는 거예요. 체온이 30도 정도로 낮아지면 심장박동이 멎고, 18도까지 떨어지면 두뇌 활동이 거의 정지되어 피의 흐름이 멎게 되요. 그래서 피를 흘리지 않고도 수술할 수 있는 것이죠 ... ...
과학은 최고의 명탐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제약회사의 직원이었다. 강박사가 하고 있던 연구는 실용화될 경우 수많은 불치병
환자
를 치료할 수 있었다. 이 정보를 제약 회사들이 모를 리 없었고 마침내 극비리에 그의 연구가 성공했다는 정보를 입수할 수 있었다. 범인은 사건이 일어난 날 늦은 밤에 강 박사의 집을 방문했다. 바로 강 박사의 ... ...
반가워, 서울숲의 친구들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다섯! 자연 치료사숲을 볼 수 있는 병실의 수술
환자
는 숲을 볼 수 없는 병실의
환자
보다 빨리 회복된다는 연구결과가 있어요. 이 통계에 의하면 연간 7000억 원쯤의 의료비를 줄일 수 있답니다.여섯! 소음 차단기집 주위에 나무를 심어 울타리만 만들어도 청소차 소음을 50%, 어린이 놀이터의 소음을 50% ... ...
질병 없는 세상,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심장질환 등 난치병 치료의 가능성을 열어 줄 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고통받는
환자
들에게 희망을 주는 일이 의사의 해야 할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질병 없는 세상을 만들 주인공지금까지 치료용 배아복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사실 쉽게 이해하기는 어려운 분야일 지도 모른다. 50년이 넘게 ... ...
디지털 주얼리(Digital Jewelry)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톰 크루즈가 착용했던 장갑형 마우스 보다 기술적으로 훨씬 앞선 형태다.자바링건망증
환자
를 위한 미래형 반지. 디지털세미컨덕트가 개발한 이 반지만 끼면 집안 출입은 물론 자신이 가입한 모든 사이트에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다. 지름 16mm 스테인리스 반지 안엔 프로세서와 메모리가 들어 있다 ... ...
오른발보다 왼발이 더 길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신체에서 중요하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엄지발가락이 유난히 짧은 모턴 증후군
환자
는 걷기가 힘들다.반면 엄지발가락의 근육을 잘 발달시키면 추진력이 강해진다. 이를 위해 신발제조업체 ‘나이키’는 케냐 마라톤 선수들을 위해 엄지발가락 부분만 따로 분리된 신발 ‘에어 리프트’를 ... ...
뇌는 블랙박스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잠들었다가 난청기간이 길어지면 무언가 다른 일에 동원되며 정상을 회복하는데, 이런
환자
는 수술 후에 언어청각능력을 회복 못하기도 한다. 이런 사람도 수화로는 의사소통이 가능하니 아마 언어영역이 잘못된 것은 아닐 터다.뇌의 어느 지역이 무슨 일을 하는지 알면 뇌의 각 부분이 서로 얼마나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