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자
의뢰인
고객
단골
환영
사건 의뢰인
정신병자
d라이브러리
"
환자
"(으)로 총 2,777건 검색되었습니다.
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처녀생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한다.
환자
에서 난자를 채취해 처녀생식으로 수정란을 만든 다음 줄기세포를 얻으면 이
환자
에게 이식할 때 면역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는다. 결국 ‘여성용’ 줄기세포인 셈.하지만 현재 황 교수팀이 처녀생식으로 배아줄기세포를 얻는 기술을 확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국내 한 줄기세포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가지므로 주철관 · 롤 · 강괴형주형 · 기계부품 등에 널리 쓰인다위 절제 수술을 받은
환자
의 식후증후군 명치 부분의 팽만감과 압박감 · 구역증 · 구토 등의 복부증상 외에 탈력감 · 현기증 · 발한(發汗) · 심계항진 등 순환실조 증상이 따른다그런 증상은 섭취한 음식물이 위에서 소장으로 ... ...
개는 죽어서 우정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견해 ‘하이포글리세미아지’에 발표했다. 그는 개가 저혈당
환자
의 땀에 포함된 아주 적은 양의 ‘카테콜아민’이란 물질을 구별하는 것으로 추측했다. 사람과 개, 유전자 75% 공유한다사람과 침팬지에 이어 개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도 현재 진행 중이다. 지난 2003년 6월 ... ...
왜 우리는 황우석을 믿었는가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효과도 인지적 일관성을 희망하는 인간의 욕구와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황우석 박사와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는 우리나라 국민들에게 첫사랑처럼 한순간에 반한 아름다운 첫인상이었다.처음 예쁘게 본 사람은 계속 예쁘게 보이며 단점이 눈에 띄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처음에 밉게 본 사람은 계속 ... ...
피부의 천적 가려움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계속해서 두드러기가 나는 만성 두드러기가 있다.임상에서도
환자
가 수년간 만성 두드러기로 고생하다가 일정 기간의 한방 치료 후에 증상이 없어지는 경우를 자주 경험한다.이런 경우 막연하게 ‘체질 개선’ 때문이라는 표현을 쓸 수 있지만, 과학적으로 어떤 기전 때문에 ... ...
생명을 살리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있으며 동종 업체 시르나(Sirna)에서는 퇴행성 각막질환으로 눈에 혈관이 과다하게 생긴
환자
를 치료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시르나는 2004년 9월 ‘RNA로 만든 최초의 약’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약 임상실험 허가를 신청해 큰 화제를 모았다.김연수 교수는 “유전자 전달 개념이 도입된 ... ...
겨울철 불청객 감기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효과가 없는 것일까? 실제로는 효과가 있는 한방 처방들이 있다. 1996년 일본에서 감기
환자
171명을 대상으로 마황부자세신탕(麻黃附子細辛湯)과 일반 종합감기약의 효과를 비교 실험했다. 그 결과 마황부자세신탕이 증상을 호전시키는 속도가 더 빨랐다고 한다.마황부자세신탕은 발한, 항알레르기 ... ...
2005년 과학계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연구원의 증언을 보도하고 생명과학인들이 줄기세포 사진 조작 의혹을 제기하면서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 연구 진위 논란이 불거졌다.02_세계 최초 50나노 16기가 낸드플래시 메모리 개발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50나노(1나노는 10억분의 1m) 공정기술을 적용한 16기가비트급 낸드플래시 메모리 개발에 ... ...
3. 아시아로 세계로 아웃 오브 코리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빈도가 일반 집단에 비해 높다. 유럽에 비해 아시아 지역으로 갈수록 알파-탈라세미아
환자
를 더 흔히 볼 수 있다. 이는 그 지역에서 유행하는 말라리아에 잘 걸리지 않는 우월성이 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잡종강세가 건강한 민족 만들어잡종강세는 유전병에도 적용된다. 근친결혼이 심한 ... ...
잃어버린 줄기세포의 희망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결국 ‘조작’이었다. 황 교수팀에게 ‘줄기세포 원천기술’이 남아있더라도 난치병
환자
들이 의지했던 희망은 이미 아련해졌다. 거짓은 결국 과학에 대한 신뢰를 갉아먹게 될 것이다.서울대는 12월 15일 조사위원회(위원장 정명희 교수)를 꾸려 지난해 11월 본격 제기된 윤리문제부터 최근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