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프로젝트"(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사용되던 전파망원경의 성능도 좋아지고 있다. 가장 규모가 큰 세티 연구인 피닉스 프로젝트에서는 지구와 가까운 항성계 1000개를 조사하고 있다. 대개 200광년 안쪽에 있는 천체가 대상이다. 1960년대 드레이크 박사는 겨우 수 광년 떨어진 항성 2개를 조사하는 것으로 세티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의 ... ...
- 달에 돌진한 LCROSS, 물 발견했나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얘기다. 2010년부터 유럽우주국(ESA)은 혜성이나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는 돈키호테 프로젝트를 시작할 예정이다. 일각에선 2030년대 후반 지구에 소행성이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는 계산 결과를 내놓기도 한다. NASA는 딥 임팩트 실험에 3억 3300만 달러(약 3830억 원)를 쏟아 부었다. 글 이정호 기자 sunrise ... ...
- 이공계열 학생이 미술에 대한 선호를 살려 진학할 수 있는 전공은?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배우는 과정, 4학년은 디자인 철학과 윤리관을 갖춘 전문 디자이너로서 복합적인 디자인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종합과정으로 돼 있습니다. 이처럼 KAIST 산업디자인 학과에서는 디자인을 배우는 곳이긴 하지만 인문학, 과학, 공학 및 조형 예술에 균형을 이룬 체계적인 교육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이 새로운 캡슐형 내시경을 대형 의료기술 프로젝트의 과제로 선정해 갖가지 아이디어를 내놓고 있다.현재 가장 유력하게 검토되는 방안은 캡슐형 내시경을 여러 개 이어붙인 ‘기차형’ 내시경이다. 혼자 이동하기 어려운 알약 형태를 버리고 알약 여러 ... ...
- 별 볼일 없는 왜소은하가 왜 관심을 끄나요?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존재가 아니라는 뜻이다. 세티 코리아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는 10월, SETI 프로젝트 제창 50주년을 맞아‘세티 코리아’(SETI KOREA)에 착수한다. ‘세티 코리아’는 한국천문연구원의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데이터를 재활용해 인공 전파신호를 찾는 프로그램이다. 일반인도 ... ...
- 항공우주추진공학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대부분의 연구는 여러 산업체 또는 연구 기관과 협력해 이뤄지므로 연구원으로서 프로젝트 수행을 경험하기도 한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졸업생들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국방과학연구소 같은 국가기관을 비롯해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 대한항공, 삼성테크윈, 한화, 삼성탈레스, LIG Nex1, ... ...
-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되고 있다. 지난 2월 스페인에서 살고 있는 10대 청소년 4명은 교사와 함께 ‘우주 사진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그들은 지름이 2m나 되는 커다란 풍선을 헬륨 가스로 채운 다음, 디지털 카메라를 매달아 하늘에 띄웠다. 풍선은 고도 30km 정도의 성층권에 도착했고 결국 풍선을 이용해 지구 사진을 찍는 ... ...
- War between GOOGLE vs. MS과학동아 l2009년 10호
- 하고 싶은 대로 하도록 내버려둔다. 지난 9월, 구글은 카페인이라 불리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더 빠르고, 더 정확하고, 더 포괄적인 검색엔진이 되기 위해 내부 인프라구조를 완전히 새롭게 개선시키는 작업이었다. 이런 지속적인 개선이 효과를 보고 있다. (미국 기준으로) 웹에서 검색의 ... ...
- 지구촌 일일생활권을 꿈꾸며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낳고 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스크램제트 엔진 개발을 위한 하이샷(HyShot) 국제공동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스크램제트 엔진의 비행 시험 성공이라는 쾌거를 이루었으며, 관련 기술은 국내외 연구소 및 대학들에게 공유되어 또 다른 연구 성과의 기초가 되고 있다 ... ...
- 밤하늘 별은 얼마나 많을까요?과학동아 l2009년 09호
- 세계 곳곳에서는 ‘별밤 보존(Dark Skies Awareness)’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별밤 보존 프로젝트는 ‘인공조명의 부작용을 알리고 어두운 밤하늘이 갈수록 줄어드는 현실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올 한 해 동안 ‘지구의 밤(The GLOBE at Night, 3월)’ ‘별 찾기 국제 캠페인(The Gr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