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프로젝트"(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에도 거대한 장성(長城)이 있다고요?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지난해 미국 천체물리학 저널(ApJ)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세계 최대 규모의 천문 관측 프로젝트인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 자료를 이용했다.서로 붙어 있는 은하 쌍은 은하 외곽(헤일로)이 서로 닿아 있어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다. 연구팀에 따르면, 나선은하는 자신의 차가운 ... ...
- 다윈을 따라 제2의 닻 올리다과학동아 l2009년 12호
- 대형 범선을 이용해 내년 5월까지 다윈이 타고 항해한 비글호 항로를 따라 탐험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올해 9월에 네덜란드를 출항한 이 선박은 11월 초아르헨티나에 도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100명이 넘는 선원과 과학자가 타고 있는 이 선박은 첨단 위성항법장치와 통신 시설을 갖추고 있어 ... ...
- 창의설계 및 생산공학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생산 방법과 같은 응용 학문에 대해 공부한다. 또한 산업체와 연계해 직접 제품을 만드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산업체에 제품 개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실험으로 검증해 도와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평소에 자신이 제작하고 싶었던 생산시스템을 직접 기획하고 제작할 수도 있다.7. 취업을 ... ...
- 만화가와 천문학자가 만나면?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외계 생명체가 있다고 가정하고 그들이 보내는 전파 신호를 감지하는 ‘세티(SETI)’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지요. 최근 과학자들은 생명체를 직접 찾기보다는 태양과 비슷한 별을 찾는 데 힘쓰고 있어요. 만일 태양계와 비슷한 별이 있다면 그곳에도 지구와 비슷한 행성이 있을 가능성이 높거든요 ...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사용되던 전파망원경의 성능도 좋아지고 있다. 가장 규모가 큰 세티 연구인 피닉스 프로젝트에서는 지구와 가까운 항성계 1000개를 조사하고 있다. 대개 200광년 안쪽에 있는 천체가 대상이다. 1960년대 드레이크 박사는 겨우 수 광년 떨어진 항성 2개를 조사하는 것으로 세티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의 ...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있다. 영국의 건설전문지 ‘컨스트럭션 뉴스’는 인천대교를 ‘경이로운 세계 10대 건설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로 선정했다. 이 잡지는 인천대교 외에 삼성건설이 두바이에 짓고 있는 세계 최고층 빌딩(높이 818m) ‘버즈두바이’, 높이 1200m의 그랜드캐니언에 지어진 유리교량 ‘스카이워크’ 등을 ...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세티 코리아 홈페이지 코너가 개설될 예정이다. 본격적인 비상을 앞둔 세티 코리아 프로젝트가 어떤 성과를 거둘지 관심이 쏠린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 ...
- 달에 돌진한 LCROSS, 물 발견했나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얘기다. 2010년부터 유럽우주국(ESA)은 혜성이나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는 돈키호테 프로젝트를 시작할 예정이다. 일각에선 2030년대 후반 지구에 소행성이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는 계산 결과를 내놓기도 한다. NASA는 딥 임팩트 실험에 3억 3300만 달러(약 3830억 원)를 쏟아 부었다. 글 이정호 기자 sunrise ... ...
- 달 복제토, 제2 남극기지 만드는 극한토목기술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있는 성분을 추가해 6만 달러짜리로 변신시킬 계획이다.“NASA는 달에 기지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복제토 50만t을 2012년에 입찰할 예정입니다. 그때까지 대량생산 체계가 갖춰지면 우리도 납품할 수 있지요.”도대체 NASA는 이렇게 엄청난 양의 복제토를 갖고 뭘하려는 걸까 ... ...
-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이 있나요?과학동아 l2009년 11호
- 분석해 외계행성을 찾는다.한 교수는 “이 망원경은 2014년쯤 완성될 예정”이라며 “이 프로젝트가 성공리에 진행되면 지구형 행성은 수십 개, 목성형 행성은 수천 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에 놓인 외계행성을 찾을 확률도 높다. 그는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