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의술
메디컬
메디칼
medical
d라이브러리
"
의학
"(으)로 총 2,9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유니버설 백신 디자인을 향해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있는 항원을 공격해 무력화한다. 2000년 벨기에 겐트대 사비에르 살렘 교수팀은 영국
의학
전문저널인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을 통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마다 똑같은 구조가 있음을 밝혔다. 바로 캡슐 표면에 있는 M2단백질이다. M2단백질은 변화무쌍한 HA나 NA단백질에 비해 유전적 변이가 ... ...
부작용은 신의 선물?!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염증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 면역학 분야의 세계 권위지인 ‘실험
의학
’ 저널에 발표했다. 탈리도마이드는 염증의 원인인 ‘종양 괴사인자-α’(tumor necrosis factor-α)의 작용을 억제했다.탈리도마이드의 새로운 기능이 속속 밝혀지면서 탈리도마이드의 새로운 효능에도 신뢰가 생겼다. ... ...
화성으로 향한 피닉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진단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밀봉하지 않은 방사성동위원소와 그 화합물 및 제제(製劑)
의학
연구 목적으로 인체에 직접 투여하거나 인체에서 채취한 혈액 등 시료(試料)에 사용된다구체적 조건으로는 의약품으로서의 성질은 검사 · 치료 목적에 적합하고 독성이 없으며, 현재 임상에 보급되어 있는 ... ...
공포를 부르는 단백질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ASIC1a가 선천적으로 공포감을 느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 ‘생물정신
의학
’(Biological Psychiatry) 온라인판 7월 30일 자에 발표했다. 공포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웨미 교수팀은 ASIC1a를 제거한 생쥐를 만들고 이 생쥐의 후각이 정상임을 확인한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얻었고, 또 비합법적으로 입수한 유골을 연구하는 등 해부학에 숙달해졌다 37년 당시
의학
의 최고학부인 이탈리아의 파도바 대학에 유학하여 그해 12월에는 학위를 취득하고 23세의 젊은 나이로 해부학과 외과교수로 임용되었다 칼슘과 알루미늄이 주가 된 가수(加水) 규산염광물(珪酸鹽鑛物)이다 ... ...
수술 중 깨어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천식,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치료하는데 최면요법을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은
의학
적인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미국 스탠퍼드대 정신과 교수였던 어니스트 힐가드는 1955년부터 1974년까지 최면마취를 이용한 수술 25건을 분석해, 무작위로 뽑은 환자의 10%가 마취제를 사용하지 않고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되었으나 34년 나치스 지배하의 독일을 떠나 미국으로 건너갔다동년 베이징의 협화
의학
교(協和醫學校)에서 베이징 원인(시난트로푸스) 화석을 연구하던 D 브라크교수가 갑자기 죽자 그 후임자가 되었다35년 베이징에 부임하면서 온 정력을 베이징 원인 연구에 기울여 두개강(頭蓋腔)의 내형(內型)과 ... ...
피스토리우스의 올림픽 출전을 둘러싼 논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관한 국제회의가 파리에서 열렸을 때 이 용어가 확정된 후 현재는 생물학 ·
의학
· 공학 등 넓은 분야에 걸쳐 사용되고 있으며, 공학분야도 일렉트로닉스뿐만 아니라 기계공학이나 재료공학 등을 널리 포함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디아조늄염에 의한 α, β-불포화카르보닐화합물의 아릴화 반응 ... ...
해부용 시체 카데바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병리학을 배우면서 서서히 한명의 의사로 성장한다. 해부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없이는
의학
의 발전도, 의술의 완성도 불가능하다. 영화에는 이런 해부학의 기본에 충실하기 위해 고심한 흔적이 여럿 나타난다 ... ...
PART1. 향기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하나가 몇 가지 냄새분자를 담당하는 것도 밝혔다. 이 공로로 둘은 2004년 노벨생리
의학
상을 받았다.이 연구로 냄새를 맡는 과정은 밝혀졌지만, 사람이 어떻게 1만 가지나 되는 냄새를 맡을 수 있는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또 사람에 따라 후각유전자가 후각수용체를 만드는 정도도 다 달라서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