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의술
메디컬
메디칼
medical
d라이브러리
"
의학
"(으)로 총 2,978건 검색되었습니다.
칼 삼키는 묘기, X선으로 파헤치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소개됐다. 2007 이그노벨상수상자와 업적(10개 부문) ▽
의학
상 = 브라이언 위트컴(영국 글로스터 왕립의료원)댄 메이어(미국 칼 삼키기 묘기자) ‘칼 삼키기와 그것의 부작용 연구’▽물리학상 = 라크슈미나라야난 마하데반(미국 하버드대)엔리케 세르다 비야블랑카(칠레 ... ...
아름다움을 훔친 X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볼수 있어요. 그 아름다움을 찾아 나선‘X선 의사’가 있답니다. 영동세브란스병원 영상
의학
과 정태섭 교수예요.정 교수가 최근 경기 양평 닥터박갤러리에서 열린 ‘개성과 열정 전’을 비롯해 여러 전시회에 선보인 ‘X선 작품’들을 소개할게요.호접란나비를 닮은 독특한 곡선미를 가진 양란인 ... ...
무 기자의 취재노트로 건강 365일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아이들의 눈망울을 보게 된다.재미와 감동을 주는 만화가 끝나자 안압·안저검사에 대한
의학
상식이 등장한다. 건강검진 결과를 받아들고 느끼는 ‘참을 수 없는 난해함’을 덜기 위해 친절한 주치의의 명강의도 실었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안과 김응권 교수는 각막염에 걸렸던 자신의 환자 ... ...
3.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유전자 적중 쥐가 만들어진다. 파일럿 스미시스와 의지의 과학자 카페키 2007년 노벨생리
의학
상을 받은 트로이카 가운데 두 과학자는 불굴의 의지를 갖춘 과학자다.스미시스 교수는 경비행기인 세스나 182기를 조종하는 파일럿이다. 1995년 미국의 유명 비행잡지에 경비행기를 12만km 이상 운항한 ... ...
주사기여 안녕~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정서적 반응 사이의 연결고리를 약화시킨 결과”라고 주장했다. 이 연구결과는 가정
의학
회지 2006년 8월호에 실렸다.하지만 바늘에 예쁜 장식을 해서 심리적인 공포감을 잠시 줄일 수는 있어도 주사를 맞을 때 통증은 실제로 줄여주지 못한다. 어차피 맞아야 하는 주사라면 횟수라도 최대한 줄일 수 ... ...
말레이시아 첫 우주인 ISS 입성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우주청은 2003년 여러 대학의 연구팀으로부터 40개의 우주실험을 제안받아 이 중 3개의
의학
관련 실험을 최종 선정했다. 두 우주인 후보가 모두 의사출신이라는 점을 고려한 선택이었다. ISS에서 8일 동안 머물며 무스자파가 한 실험은 세포와 박테리아의 분열과 번식, 그리고 단백질 성장에 대한 ... ...
헤딩슛, 뇌손상 걱정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축구할 때 헤딩을 많이 해도 뇌는 손상을 입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를 ‘영국스포츠
의학
’지 9월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축구선수 10명에게 코너킥 상황에서 헤딩슛을 10번, 또 다른 10명에게는 20번 하게 한 뒤 이들의 뇌척수액을 채취해 헤딩을 한번도 안한 선수들의 뇌척수액과 비교했다.뇌가 충격을 ... ...
두얼굴의여친 다중인격장애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아니의 이름을 두 번 부르면 하니가 사라지고 아니가 나타나는 것으로 그렸는데, 이는
의학
적 관점에서 오류다.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다중인격장애가 학계에서 공식적으로 보고된 적이 없다. 다만 미국에서는 대중 매체의 영향과 아동 학대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고조되면서 다중인격장애에 대한 ... ...
예비우주인과 팀워크가 중요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태웠다. 우주인이었던 토마스는 NASA가 사생활보호 차원에서 정확한 원인을 밝히지 않은
의학
적 문제 때문에, 그리고 로리아는 집에서 휴식을 취하던 중 사고로 입은 경미한 부상 때문에 우주왕복선을 탈 수 없었다.NASA에서 발사를 한 달도 채 남겨두지 않은 상태에서 두 사람이나 교체하는 일은 흔치 ... ...
젊은 운동선수 노리는 '암살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893~1986 미국 생화학자 헝가리 부다페스트 태생 김나지움을 거쳐 부다페스트 대학
의학
부에 진학, 조직학에 흥미를 가지고 항문상피(肛門上皮)를 연구하여 1912년에 최초의 논문으로 발표했다파장이 1~10cm인 극초단파 진동수는 3~30kHz이다직진성이 뛰어나고 전파 도중에 공간에서 별로 감쇄하지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