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아래"(으)로 총 3,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훈데르트바서展] 곡선과 나선으로 건축을 치료하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있는 집’을 보면 켜켜이 쌓인 지층 아래 매달린 집이 그려져있다. 보통 보는 건물과 위아래가 뒤집힌 형태다. 집의 바닥이 아니라 옥상이 숲과 흙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다.이런 나선과 지층에 관한 그의 생각은 건축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훈데르트바서는 1997년 ‘블루마우’ 온천마을의 호텔과 ... ...
- 수학 논문으로 꿈을 이룬다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인천 제물포중 2층 복도 끝에 자리한 교실, 그곳에서 3월 인천과학고 입학을 앞둔 이성계 군을 만났다. 큰 무대와 어려운 자리에서 여러 번 발표한 경험이 있어선지 그는 여유로운 표정으로 취재진을 맞이했다.건널목에 멈춰서 있던 그는, 올겨울 2011학년도 과학고 이색 합격자로 한 차례 이름을 날 ...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수학동아 l2011년 02호
- 두 번 모두 져 독기가 오른 신라의 김유신. 이대로 무너질 수 없다며 윷놀이에 모든 걸 걸고 한판 승부를 펼치자고 나선다. 반면 적지 않은 영토를 확보해 느긋한 고구려의 연개소문과 백제의 계백. 김유신의 ‘다걸기(올인)’ 전략을 역으로 이용하려 하는데….김유신·연개소문·계백·소정방 네 장 ... ...
- 아름다운 무지개다리수학동아 l2011년 02호
- “보라야, 저 다리가 아름답게 느껴지는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니?”“글쎄요…. 선생님, 겨울에 먹는 아이스크림 진짜 맛있어요. 드셔 보실래요?”“다리를 보라니까. 다리 아래의 저 곡선 때문에 아름다운 거란다. 저 곡선이 어떤 것과 닮았지?”“음…, 무지개 모양이네요. 아닌가?” “그래, 무지 ... ...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올해도 벌써 한 달이 훌쩍 지나갔다. 매년 특별한 2월. 개학이 자꾸만 빨리 다가오는 이유도 2월이 다른 달보다 짧아서 그런 것 같다. 이번 2월엔 어떤 특별한 날이 있을까? 흠…, 2월은 설 연휴와 함께 시작하고, 또 초콜릿을 나눠 먹는(?) 날도 있다. 혹시 특별한 날이 또 있을까?파이데이? 오일러데이! ... ...
- Part 2. 기막힌 운이 승리를 가져다준 쌍륙수학동아 l2011년 02호
- 고누에서 진 신라의 김유신은 이제 백제 계백과의 한판에 더 신경을 쓴다. 신라는 경기도 남부 지역을, 백제는 충청도 북부 지역을 놓고 쌍륙으로 서로의 실력을 겨룬다. 영토를 넓히는 장수는 백제의 계백일까, 신라의 김유신일까?백제 계백 vs 신라 김유신의 쌍륙 한판 쌍륙은 윷놀이처럼 말을 ... ...
- '점'과 '꼭짓점'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수학에서 점은 뭘까요? 수학에서의 점은 얼굴에 있는 점도 아니고 책에서 볼 수 있는 문장 부호로 쓰는 점도 아니고 앞날의 운수나 길흉을 따지는 점도 아니에요. 이 중 가장 비슷한 것이 책에 있는 문장 부호로 쓰이는 점이라고 할 수 있겠죠. 모양이 똑같으니까요.그렇지만 문장부호인 점과 수학에 ... ...
- 살아 있는 지질박물관, 일본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대지진으로 기록되어 있어요. 규모 7.2의 지진으로 1초당 남북으로 89.3㎝, 동서로 74.4㎝, 위아래로 39.6㎝씩 움직였다니, 정말 어마어마한 파괴력을 지녔겠죠?실제 이 지진으로 6300명이 사망하고 14조 원이 넘는 피해를 입었어요. 고베에는 당시의 지진 피해 현장을 그대로 보존해 둔 ‘메모리얼파크’가 ...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지구공학을 실행한다면 미래 모습은 어떻게 펼쳐질까. 지금까지 논문으로 발표된 지구공학 아이디어들을 땅과 바다, 하늘 및 우주로 나눠 정리해 봤다. 영국 학술원이 2009년 발간한 보고서 ‘과학, 정책 그리고 불확실성’에 근거해 효과, 비용, 시간, 안전 점수를 매겼다. 가장 실현 가능성 높은 ...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2. 손가락에 숨은 비밀]대학 4학년 때의 일입니다. 몇 가지 졸업작품을 생각하다가 로봇팔 비슷한 것을 만든 적이 있습니다. 대강 설계도를 그린 다음 동네 공업사에 가서 여러 가지 부품을 만들어 왔습니다. 그 다음 에폭시 같은 접착제나 고무줄, 테이프 같은 것으로 부품을 얼기설기 엮어서 형태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