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영장류들이 도구를 쓰는 문화를 더 전파하면 지금과는 다른 방향으로 진화할 수도 있다. 인간의 관점에서는, 영장류의 도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인류의 석기시대를 엿볼 수 있다. 인류의 진화사를 새롭게 조망할 기회도 얻게 됐다. 전세계 영장류들을 보호해야 할 또 하나의 ... ...
- [Tech & Fun] 중소기업 연구의 해결사 슈퍼컴, 최적의 설계를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도로 위를 달리면서 구동축이 휠을 아래로 누르는 실험 조건, 즉 물질의 종류와 힘의 방향, 크기 등을 입력하자 잠시 후 시뮬레이션이 시작됐다. 휠이 힘을 받으면서 변형되는 모습이 나타났고, 어느 부분이 가장 큰 힘을 받으면서 변형되는지를 알 수 있었다. 김 선임연구원은 “과거 M&S 지원을 ... ...
- [쇼킹 사이언스] 바람이 돌을 움직인다고?! 항해하는 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드러나 있지요. 이 흔적은 너비가 8~30cm에 깊이가 2.5cm 정도이며, 일직선이었다가 갑자기 방향을 틀거나 곡선을 이루기도 한답니다.돌은 스스로 움직인 걸까요? 아니면 누가 밀어서 이동시킨 걸까요? 돌 주변에 찍힌 발자국이나 돌을 민 흔적 등이 없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돌이 스스로 움직인다고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자석이에요. 북극이 S극, 남극이 N극에 해당한답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해 나침반으로 방향을 찾을 수 있어요.‘성품 성(性)’은 마음을 뜻하는 ‘심(心)’과 ‘날 생(生)’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한자예요. 사람의 마음, 즉 타고난 성격이나 성품을 의미하지요. 이 뜻이 확대돼 물질의 본질이나 성질,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홀 효과는 아주 섬세하게 가공한 반도체 계면(서로 다른 물질이 만나는 경계)에 수직 방향으로 매우 강한 자기장을 걸고 온도를 절대 영도에 가깝게 유지하는 극한 상황에서만 관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88년 발표한 논문에서 홀데인은 “만약 2차원 고체가 특정한 구조를 갖고 있다면 외부 자기장이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탱해줄 수 있는 부력이다. 부력은 물체를 액체 속에 넣었을 때 그 물체를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올리려는 힘을 말한다. 이 때 부력의 크기는 물체의 부피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에 해당한다. 즉, 고래는 자기 몸집에 비례하는만큼 위로 떠오르는 힘을 받는다는 뜻이다. 만약 흰긴수염고래를 ...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GPS 위성이 보내온 전파를 수신해서 현재 위치를 알고, 컴퍼스 모듈로 동체의 정면이 어느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지 파악하면 스스로 위치를 재확인해가며 지정된 경로대로 움직일 수 있다. 비킹 부사장은 “향후에는 도심에서 파셀콥터 프로젝트를 할 계획”이라며 “배터리 기술이나 비행 기술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경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다양해요. 철새와 연어, 바다거북 등이 대표적이지요. 꿀벌도 지구자기장을 감지해 비행 방향을 결정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답니다.인위적으로 세포가 자성을 띠게 만드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어요. 하버드대학교 의학대학 연구팀은 빵의 반죽을 부풀릴 때 사용하는 미생물인 이스트에 ‘페리틴 ... ...
- [수학뉴스] 수학, 잠든 그림에 숨결을 넣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나무 조각을 덧대었는데, 어떤 조각은 화판의 나뭇결 방향으로, 나머지는 그에 수직인 방향으로 붙였던 겁니다. 그래서 엑스선 영상에 나타난 선이 물감의 틈인지 화판 뒤에 붙은 나무 조각의 결인지 구분하기 어려워진거죠. 도브시 교수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만들어 이 둘을 구분하는 데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흐른다. 전압은 전류 방향 또는 전류의 수직 방향으로 모두 잴 수 있다.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수직으로 잰 전압과 전류를 간단한 수식에 넣어서 계산한 값은 띄엄띄엄 정수로 나타난다. 이 값을 ‘홀 전도도’라고 하며, 이 현상을 ‘양자홀 효과’라고 한다.여기서 재미있는 현상이 나타난다.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