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빛과 거울, 명작의 비밀병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17세기 네덜란드 회화 작품에는 특별한 도구가 이용됐어요. 바로 빛과 거울이에요. 빛의 방향을 적절히 조절하고, 거울로 빛을 반사해 자화상을 그렸다는 말입니다. 믿기지 않는다고요? 지금부터 저를 따라오세요.자, 1관부터 들어가 봅시다. 체험관 안쪽은 암막으로 막아놓아 캄캄해요.한쪽 벽면에 ... ...
- [소프트웨어] 꼬마 스티브 잡스 키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울리면 침대에 누워 있던 캐릭터가 일어나야 한다. 캐릭터가 누운 상태를 0°로 두면 시계방향으로 90°만큼 회전했을 때 캐릭터가 발을 딛고 일어서게 된다. 움직임은 캐릭터 회전 각도를 조절해서 바꿀 수 있다.반대로 어두운 밤이 되면 방 안에 불이 켜져야 한다. 위와 같은 원리로 ‘밤이 되면 방 ... ...
- [수학동아클리닉] 여러 가지 문제 해결하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삼단(tri), 사단(tetra), 오단(penta), 육단(hexa)과 같은 접두어를 붙입니다. 플렉사곤은 한 쪽 방향으로 계속 뒤집다 보면 처음 보았던 면이 나타나는데, 뫼비우스의 띠처럼 시작과 끝이 없습니다.지금까지 6학년 1, 2학기 총 12개 단원을 함께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상태로 배열할 수 있는 정도가 돼야한다는 말이다.당연히 도면엔 뼈의 종류는 물론 뼈의 방향, 즉 뼈의 위쪽, 아래쪽, 앞면, 뒷면 등을 모두 기록해야 한다. 도면을 그릴 때 법의인류학자가 함께 있어야 하는 이유다. 필자는 뒤섞인 채 발굴된 32구의 뼈를 실험실로 옮겨 개체를 구분한 적이 있다. ... ...
- [과학뉴스] 여성과 남성, 공간지각 능력 차이 없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여학생 7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공간 지각 능력을 측정했다. 한 그룹은 특정 물체로 가는 방향을 말하거나 지도를 보고 길을 설명하는 기존의 검사를 그대로 수행했다. 다른 그룹은 물체가 아닌 사람을 시작점으로 하거나 길의 모퉁이마다 사람이 있는 지도로 검사를 받았다. 검사 시작 전 전자의 ...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화재흔적 사례를 연구했다. “발화지점을 추정할 때는 외국의 매뉴얼에 따라 화재패턴의 방향이나 그을음 정도 등 많은 흔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데, 한국 주택에 흔히 쓰이는 종이벽지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은 매뉴얼에 없습니다. 매뉴얼을 만든 미국이나 유럽, 일본은 보통 목조와 석고보드, ... ...
- [Tech & Fun] 중소기업 연구의 해결사 슈퍼컴, 최적의 설계를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도로 위를 달리면서 구동축이 휠을 아래로 누르는 실험 조건, 즉 물질의 종류와 힘의 방향, 크기 등을 입력하자 잠시 후 시뮬레이션이 시작됐다. 휠이 힘을 받으면서 변형되는 모습이 나타났고, 어느 부분이 가장 큰 힘을 받으면서 변형되는지를 알 수 있었다. 김 선임연구원은 “과거 M&S 지원을 ... ...
- Part 3. 규제는 철저하게, 확인은 꼼꼼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문제였다”고 지적했답니다. 환경부가 지난해 7월부터 올해 1월까지 탈취제, 방향제 같은 생활화학제품 331개를 조사한 결과 안전기준 위반 제품 7개가 적발됐다. 이 가운데는 가습기 살균제에 들어 있던 소독용 독성 물질이 사용된 제품도 있었다.엄격한 관리와 규제가 필요해이번 사건을 바탕으로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드릴링(Directional drilling)’ 장비가 사용된다. 디렉셔널 드릴링은 시추 중에 시추공의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기술이다. 과거에는 시추공이 닿지 못했던 복잡한 마그마 방 사이를 찾아들어갈 수 있는 셈이다. 그밖에 마그마가 발산하는 열에 견딜 수 있는 센서도 개발해야 한다. 특수 제작한 ... ...
- Part 2. 내 안에 펼쳐진 나만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한가운데를 세게 내리쳤을 때 깨지면서 생기는 금과 비슷하다. 중력이나 햇빛처럼 한 방향을 따라 가지를 친 게 아니라, 사방팔방으로 수많은 혈관들이 뻗어 나간 셈이다.영국의 물리학자이자 과학저술가인 필립 볼은 저서 ‘가지’에서 혈관이 고유한 프랙탈 구조를 띠는 이유는 혈관모세포에서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