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법"(으)로 총 12,9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깝고도 먼 친척 인류...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데니소바인 화석 찾기 프로젝트인 ‘파인더(FINDER)’를 진행하고 있다. 첨단 연구방법을 동원해 아시아에서 데니소바인을 찾는 프로젝트로 2017년 시작돼 2022년까지 이어진다. 프로젝트를 이끄는 카테리나 도우카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데니소바인은 현대 고인류학에서 가장 ... ...
- [특집] 핵심만 쏙 뽑은 확률의 기본 개념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분모에 있는 모든 데이터가 가질 확률의 합을 계산하기가 어려워 이를 쉽게 하기 위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3단계 | 최적화하기 수학에서 최적화한다는 것은 미분을 통해 극값을 찾아가는 과정입니다. 즉, 기울기가 0인 부분을 찾는 거죠. 이를 경사 하강법이라 부르는데요. AI 학습 ... ...
- [IBS×수학동아] 나의 삶, 나의 수학 그래프로 연결하는 세상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성질과 그래프의 성질을 통합해서 연구할 수 있는 대상이에요. 이를 연구한 논문에 적힌 방법들을 검토하다 보니 박사과정 때 풀어야 할 문제와는 거리가 멀어 보이지만, 랭크 너비에서도 재미있는 결과를 증명할 수 있었습니다. 그중 하나가 1991년에 제기된 제제의 추측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당시 ... ...
- [이슈]팝잇, 이렇게 즐겨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하려면, 진은 30번 팝잇을 마지막으로 눌러야 합니다. 배스킨라빈스 게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30에서 4씩 작은 숫자 2, 6, 10, 14, 18, 22, 26을 진의 차례가 됐을 때 마지막으로 누르면 윤이 팝잇을 어떻게 누르더라도 맨 마지막 팝잇을 누르게 됩니다. 이제 팝잇으로 ‘뿅뿅’ 누르는 배스킨라빈스 게임을 ... ...
- [특집] 겨울잠, 인간도 가능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심장 마비나 뇌 손상을 입은 환자들에게 쓰이는 방법으로, 1~3일 정도 유지돼요. 이 방법을 체온 조절 부위에 영향을 주는 약물을 투여하여, 건강한 사람이 여러 주 동안 저체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만드는 거죠. 체온이 32℃ 정도로만 떨어져도 대사 활동이 줄어들어 식량과 산소를 많이 아낄 수 있을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쓸데없지만 멋져! 레모네이드 골드버그 장치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Awesome Restorations’이 도전했어요. 화학 약품으로 씻어내고 높은 온도에 굽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찌든 때(?)를 벗기면, 짜잔! 영롱한 라이터가 나타나요. 여러분도 영상에서 확인해 보세요 ... ...
- [디지털리터러시] 웹사이트, URL, IP…. 이게 다 뭐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디지털을 올바르게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를 수 있도록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연재를 시작했어요. 5화에서는 우리가 수많은 사람 ... 중 가장 넓고 무궁무진한 세상이 될 것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아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 ...
- 낯선 생물이 내 터전에 들어왔다...생태계 악당 침입종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개체 수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수십 년은 생태계가 적응하기엔 너무 짧은 기간여러 방법으로 대처하고 있지만, 일단 들어온 침입종을 생태계에서 완전히 없애지는 못한다. 1998년 최초로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된 황소개구리, 큰입배스, 파랑볼우럭은 20년이 훌쩍 지난 지금까지도 생태계를 ... ...
- 신속PCR 쟁점 3가지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교수는 “바이러스 양이 적을 것으로 예측되는 무증상 감염자를 정확도가 검증되지 않은 방법으로 선별해 검사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말했다.또다른 신속PCR 기술인 LAMP 원리를 적용한 진단 검사 역시 기술적인 한계로 정확도가 낮을 가능성이 높다. 열역학적으로 온도를 올려 DNA 가닥을 분리하는 ... ...
- [수학뉴스] 포유류 수염의 구부러짐, 시뮬레이션으로 알아본다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나누고 미분방정식을 연립방정식으로 바꿔서 각 부분에 대한 근사해를 찾는 수학적 방법입니다.모형화 결과 모낭 내부에서 포유류의 수염은 S자 모양으로 변형될 가능성이 가장 높았습니다. 모낭 주위를 지나는 혈관 바로 옆의 모낭 벽이 가진 탄성이 컸기 때문입니다. 모낭 주위를 지나는 혈관 쪽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