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내"(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만들 수도 있다. 결국 CNC 기술이란 로봇분야의 기본 학문인 셈이다. 로봇제어 분야 국내 일인자로서의 입지를 착실히 다졌던 시기였다. 로봇 이름 개발 시기 비고 KHR-1 2002년 사실상 한국최초의 2족보행 로봇이다. 머리가 없었고, 케이스를 씌우지 않아 해외 언론에선 ... ...
- 짜릿한 수학, 평생 즐기는 세계적인 수학자 (금종해 고등과학원 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학술지인 ‘수학연보(Annals of Mathematics)’에 논문이 소개되기도 했다. 금 원장은 지금도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수학자 중 한 명이지만, “세계적인 수학자가 되는 것은 평생의 꿈이고, 수학자는 평생 해야 하는 직업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덧붙여 그는 “고등과학원 원장을 맡고 있는 현 ... ...
-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세계 최초 시험 비행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KUS-TR’이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수직이착륙 유인항공기는 이미 미국에서 실전 배치됐지만 무인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다.대한항공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10월 17일 전남 고흥군 항우연 비행장에서 휴대용 무선 조종장치로 ‘KUS-TR’을 ... ...
- [INTERVIEW] “1000호 소장 독자가 되겠습니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큰 도움이 됐다. 해군에서 항공 정비 장교로 근무했던 그는 과학동아에 소개된 국내외 항공, 기상, 화학, 의학 분야 기사에서 많은 정보를 얻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대원들 세미나 할 때 기본 정보를 제공해주는 훌륭한 교재였다”며 “20년 정도 모으니 과학과 관련된 웬만한 질문의 답은 ... ...
- 오직 근육의 힘으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5시간 만에 130m를 비행하다전날 오후에 23호 태풍 ‘피토’가 서쪽으로 경로를 바꾸면서 국내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을 거라는 예보가 있었다. 실제로 9시까지만 해도 풍속은 초속 2~3m로 안정적이었다. 실시간 풍속과 풍향을 체크하던 현장 엔지니어는 “활주로와 바람의 방향이 10°정도 차이가 나긴 ... ...
- 주경야독 철도원, 나노분야 대가로 성장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진학한다는 것은 계속 공부를 하고 싶은 이 교수에게는 큰 의미가 없었다. 당시만 해도 국내 대학원 연구시설이 열악했기 때문.미국 켄트대로 유학을 간 그는 돈 걱정 없이 좋아하는 공부를 할 수 있다는 것 때문에 재미있는 유학생활을 보냈단다. 특히 고체물리로 이론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이 ...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조언했다. “꼭 유학이 아니더라도 국내 시스템이 글로벌 시스템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국내에서 다 할 수 있습니다. 우리 때는 힘들었지만 요즘은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저는 밑바닥부터 꼭대기까지 몸으로 배웠기 때문에 다 해보고 경험해 봤다는 것은 누구보다도 강점을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 ...
- 5기통 엔진의 마지막 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적용하기 시작했다. 그 뒤 볼보, 아우디, 폭스바겐이 5기통 엔진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쌍용차가 5기통 엔진을 장착한 ‘무쏘’를 내놓았다. 이젠 4기통만으로 충분해!올해 들어 ‘동급이면 배기량 적은 모델’이 유행했다.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연비가 좋은 차가 더 인기를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같아서 한 일이었죠. 그랬으니까 더 즐겁게 집중해서 했던 것 같아요.” 올림픽이 끝나고 국내에서도 마약사범이 잡히기 시작했다. 그런데 그들이 진짜로 마약을 복용했는지 확인할 방법이 마땅치 않았다. 그때 정 원장이 구축한 방법이 큰 도움이 됐다. 이미 탄탄한 데이터를 확보한 터라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중형 민간항공기 개발 사업을 성공하고 싶다고 했다. 이정도 규모면 우리나라에서도 국내선 수요를 상당부분 대치할 수 있고, 해외 여러 나라에 판매도 기대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군용 항공기 면허 생산을 최근에야 독자 개발을 어느 정도 이뤄냈다. 하지만 항공기 강국은 어느나라나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