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내"(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00km에 달해 교류 송전으로는 손실이 매우 컸다. 이미 중국에는 1GW 규모의 HVDC 설비가 있다.국내에서도 LS산전이 제주도에 HVDC 실증 단지를 짓고 실용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제주도가 유일하게 진도와 해남에서 연결된 해저 직류 케이블로 전력 일부를 받고 있다. 장길수 교수는 “직류 ... ...
- 아리랑 3호, 벌써 1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3호는 2012년 5월 18일에 발사된 뒤 지구 곳곳의 모습을 사진과 영상으로 담아 왔지요. 국내 최초로 해상도 1m 이하로 지상을 관측할 수 있는 ‘서브미터급 위성’으로 개발했기 때문에 지상의 풍경을 높은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답니다.발사 1주년 기념으로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 ...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작은 아버지는 대기업에 입사해서 대표이사를 지냈고, 많은 연세에도 현재까지 국내외를 넘나들며 일하는 해외플랜트 전문가십니다. 그는 저에게 ‘인적 네트워크에 신경 쓰기보다 실력 쌓는데 집중하라’는 조언을 해주셨습니다.” 그가 통신, 소프트웨어, 영어 등 다방면에 끊임없이 힘쓰는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대한민국이 위성을 수출한다고?” 그런데 1999년 말 국가에 외환위기가 닥치자 국내 위성 개발 분야에서도 효율화가 검토됐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위성 제작 집단이 2군데 있어야 하느냐는 문제 제기를 하며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통합하려고 시도했다. 이에 1999년 1 ...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끝까지 묵묵히 해냈다. 전 센터장이 자신을 후임으로 추천하자 많은 사람들이 반대했다. 국내 박사 학위에 영어도 잘 못하는 사람을 어떻게 센터장 시키느냐는 것이다. “전임 센터장이 제 열정을 본 거죠. 이 일을 정말 좋아하는구나. 이곳에서는 그런 사람 아니면 견뎌낼 수 없어요. 그거야 옛날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10월 28, 29일 고려대와 공동으로 노벨상 수상자 4명을 포함해 세계적 석학 11명이 참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자연과학 학술행사 ‘미래과학콘서트’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아리에 와르셸 교수(73)도 참가해 각계의 관심이 뜨겁다.앤더슨 ... ...
- 선박의 안전을 지켜주는 슬로싱 방지 기술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줘 손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슬로싱 방지기술은 프랑스에서 특허를 가지고 있습니다. 국내 조선 회사들이 배를 만들 때 특허료를 많이 내야만 했습니다. 김용환 교수 연구팀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대형 슬로싱 실험 인프라를 만들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기술이 외국으로 유출될 ...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비행기를 타면 세계 어디든 24시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다. 전화, e메일, 문자 메시지 등을 활용해 지구 반대쪽에 있는 사람과도 쉽게 접촉할 수 있다. 이 ... 할 수 있으며, 열심히 하면 본사서 일할 수 있는 기회도 주어진다”고 전했다. 외국계 기업도 국내 대기업만큼 좋은 기회라는 얘기다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추석 국내외를 뜨겁게 달군 소식이 있었다. 국내 연구진에 의해 호랑이의 게놈 지도가 완성돼 공개된 것. 테라젠이텍스라는 유전체 게놈 분석 전문기업이 공동연구를 통해 호랑이의 게놈 지도를 완성해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했다. 테라젠이텍스는 이번 호랑이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하다. 하지만 첨단 생명과학이 뜨면서 인기가 떨어진 분야기도 하다. “분류학은 국내에서 대학원 과정을 하기도 힘들었어요. 연구하는 분이 드물었으니까요. 그래서 유학길에 올랐는데, 그 때 선배들이 했던 말이 지금도 선합니다. ‘분류학 같이 고전적인 분야를 하면 힘들다’고요.” 하지만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