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4,593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과학동아
l
201001
체계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태양이 폭발할 때 방출되는 엄청난 전자기 파와 고
에너지
입자는 지구 주변의 자기장에 엄청난 혼 란을 준다. 실제 2003년 10월 28, 29일 발생한 강력한 태 양 폭발은 세계적으로 큰 손실을 줬다. 한국도 다목적실 용위성 아리랑 2호의 고도가 평상시보다 6배나 ... ...
2010년 남아공월드컵 공인구 자블라니
과학동아
l
201001
8개로 훨씬 적고 패널 모양도 평면이 아니라 곡면이다(입체 패널). 그래서 공을 찰 때
에너지
가 골고루 분산된다. 또 패널 수가 적어지면서 패널 하나의 면적이 넓어 공을 차기도 쉬워졌다. 공은 둥근 형태가 완벽할수록 날아가는 동안에도 균형을 유지해 목표지점까지 정확하게 도달한다. 공이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01
이오에 불과 180km까지 다가가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이오에서 나오는 강한 복사
에너지
때문에 기계가 손상돼 2002년 1월 17일 카메라가 작동을 멈추기도 했다. 갈릴레오의 마지막 미션은 목성 가까이서 돌고 있는 정규위성 아말테아 옆을 지나가며 아말테아의 질량을 측정하는 일이 었다 ... ...
제3의 불 밝히는 프로메테우스의 후예
과학동아
l
201001
‘원자력 연금술’도 가능해진다.핵재료연구실은 이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핵변환
에너지
연구센터를 두고 있다. 총 4층 공간에 마련된 대형 연구센터에는 고가의 첨단 장비들이 갖춰져 있다. 그중에서 대표적인 장비는 5000분의 1로 축소된 핵변환로 실증 장치인 ‘헬리오스(HELIOS)’다. 핵변환 ... ...
[과학뉴스] “여름스포츠의 매력 속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6
파도타기는 서핑보드가 마루에 올라갔을 때의 위치
에너지
가 골로 내려가면서 운동
에너지
로 바뀌는 것을 이용해 빠르게 움직이게 됩니다. 가만히 서 있을 때보다 빠르게 움직일 때 중심 잡기가 더 쉬워요. 두발자전거처럼 말이죠.그래서 파도타기를 하는 사람들은 물과 보드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이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6
수가 있어.지구 온난화로 갑작스런 빙기가 온다?빙하가 녹으면 적도에서 극지방으로 열
에너지
를 운반하는 해류가 변하면서 갑작스러운 빙기가 올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이것만으로 전지구적인 빙기가 올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이제 우리는, 빙하시대가 먼 ... ...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3
재활용도 플라스틱 병을 다시 물병으로 쓰는 차원을 넘어서 포장폐기물을 처리해
에너지
를 얻거나, 분해되는 재료를 써서 이후에 퇴비로 쓰자는 넓은 의미로 옮겨가고 있다.미래의 포장은?하하~, 첨단 기능부터 환경까지 생각하는 포장을 소개하고 보니 내 어깨가 으쓱해지는걸? 이제 포장은 첨단 ... ...
거대 정자를 가진 고대 갑각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3
1억 년 동안 이어져 온 특징이라고 설명했어요. 이렇게 큰 정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
가 필요하지만, 경쟁자를 물리치고 번식에 성공하는 데 효과적인 전략이라는 거지요. 연구팀은 앞으로 왜, 그리고 어떻게 거대 정자가 이어져 왔는지를 연구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 ...
벌은 뒷다리로 바람을 견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2
걸 알아 냈어요. 하지만 그 결과 공기 저항이 늘어나기 때문에 비행할 때보다 30%나
에너지
를 더 많이 쓰게 된다고 해요. 함께 연구에 참여한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대학교 등의 연구팀도 10종의 벌들이 강한 공기 흐름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연구했어요. 그 결과 대부분의 벌들이 빠른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2
생기는 냉각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그 결과 에어컨 사용이 늘어나고 더 많은
에너지
를 사용하게 되어 더욱 더워지는 악순환이 생긴다.이 때 도시 밖의 찬 공기를 끌어들이고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내보낸다면 열섬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도시에 바람길이 잘 뚫려 있어야 한다.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